공연후기(클래식 2014년)

[베토벤 시리즈III] 피터 비스펠베이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2.21.금/예술의전당

나베가 2014. 2. 21. 00:30

 

 

피터 비스펠베이는 고전과 현대를 초월하는 음악적 영역을 가진 우리 시대 최고의 첼리스트들 중 한 사람이다. 바흐부터 엘리엇 카터까지를 소화해내는 그는 세련되고도 독창적인 해석,환상적인 테크닉으로 비평가와 대중들의 마음속에 깊이 각인되어있다. 네덜란드의 하를렘 출신인 그는 암스테르담에서 디키 보케(Dicky Boeke)와 안너 빌스마(Anner Bylsma)를, 미국에서는 폴 캐츠(Paul Katz)를, 영국에서는 윌리엄 플리드(William Pleeth)를 사사했다. 1992년 그는 첼리스트로서는 처음으로 <네덜란드 음악가상(Netherlands Music Prize)>의 수상자가 되었다. 이 상은 장래가 촉망되는 네덜란드의 젊은 음악가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비스펠베이는 전 세계를 돌며 지속적인 연주활동을 펼쳐 왔다. 그는 런던의 위그모어 홀(Wigmore Hall), 파리의 샤틀레 극장(Chatelet), 암스텔담의 콘서트 헤보(Amsterdam’s Concertgebouw), 로스 엔젤레스의 월트 디즈니 홀(Walt Disney Hall), 뉴욕의 링컨센터(Lincoln Center)등 최고의 무대에서 연주해 왔다. 최근 그는 뉴욕의 2004 Mostly Mozart Festival, the Verbier and Aix Festival 등에 참여했으며 브라질 투어 공연을 하기도 했다. 다음 시즌, 비스펠베이는 스페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한국에서의 투어 공연, 런던 위그모어 홀에서의 리사이틀이 계획되어 있다. 또한 Flanders Festival과 Lanaudiere Festival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그는 뛰어난 솔리스트로서 세계의 유명한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그가 협연한 오케스트라로는 보스턴 심포니,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닉, 세인트 폴 체임버 오케스트라, 로테르담 필하모닉, 할레 오케스트라, BBC 교향악단, 18세기 오케스트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등이 있다. 2005년 2월, 비스펠베이는 런던의 로얄 페스티발 홀에서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할 예정이다. 그 뒤 제네바 체임버 오케스트라, 헨델 & 하이든 소사이어티 보스턴, 몬테카를로 필하모닉, 카메르타 잘츠부르크, 샹젤리제 오케스트라,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몬트리올 심포니, 부다페스트 페스티발 오케스트라와의 협연도 계획되어 있다.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안 체임버 오케스트라와는 대륙 투어 공연을 함께 할 예정이다. 비스펠베이는 채널 클래식스 레이블로 현재까지 20여 종의 음반들을 발매해 왔다. 그의 음반들은 6회에 걸쳐 국제적인 음반상을 수상했다. 그의 가장 최근 발매된 음반은 Dejan Lazic과 함께 연주한 것으로 브리튼과 프로코피예프의 소나타가 수록되어 있다. 그는2005년 3월에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집을, 2006년에는 드보르자크의 협주곡을 발매할 예정이다. 비스펠베이는 1760년 산 지오반니 바티스타 과다니니(Giovanni Battista Guadagnini) 첼로로 연주한다.
 
뛰어난 음악적 전달력과 높은 기량의 소유자 (뉴욕 타임즈 2004)

독보적인 첼리스트, 최고의 음악가(그라모폰 2003)

경이로운 테크닉, 완벽한 음악에의 몰입(뉴욕 타임즈 2001

Beethoven, Cello Sonatas Nos.1-5

베토벤 첼로 소나타 1~5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Mstislav Rostropovich, cello

Sviatoslav Richter, piano

Usher Hall, Edinburgh

1964.08.31

Mstislav Rostropovich/Sviatoslav Richter - Beethoven, Cello Sonatas Nos.1-5

1964년 영국 에든버러 어셔 홀에서 있은 이 공연은 두 거장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1915-1997)와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1927-2007)가 베토벤 첼로 소나타 1~5번 전곡을 2시간 가까이 열연하는 역사적인 연주입니다.

베토벤이 작곡한 다섯 개의 첼로 소나타는 피아노와 첼로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더군다나 작곡가가 이 작품을 작곡하고자 마음먹었을 당시, 이 장르에 대한 모델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대단히 놀라울 따름이다. 첼로는 16세기부터 콘티누오와의 듀오 악기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비교적 첼로를 많이 사용한 보케리니나 비발디의 경우에도 첼로의 역할과 형식은 바이올린 소나타와 다를 것이 없었고, 여전히 베이스 아리아와 같은 오블리가토를 위한 악기로 사용되었을 뿐이다.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경우도 첼로와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을 작곡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대단히 흥미롭다.

첼로를 독주악기의 반열에 올려놓은 베토벤의 천재성

이 ‘하찮은 저음악기’ 첼로를 결정적으로 독주악기의 반열로 올려놓은 장본인이 바로 베토벤이다. 1796년에 탄생한 그의 첫 두 개의 소나타 Op.5는 유능한 첼리스트이기도 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736-1813)를 위해 작곡한 것이다. 본래 베토벤이 주문받은 것은 현악 4중주였다. 그러나 베토벤이 왕에게 전달한 선물은 바로 첼로 소나타였다. 베토벤은 그에게 영감을 줄 정도의 탁월한 테크닉을 가지고 있었던 왕 전속 첼리스트인 장 루이 뒤포르와 함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앞에서 이 곡을 연주했다고 한다. 베토벤은 첼로 애호가였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에게 첼로 소나타 1번과 2번을 헌정했다.

베토벤 자신의 천재성만이 이 첼로 소나타에 현대적 의미를 불어넣은 것은 아니었다. 당대의 비르투오소인 뒤포르가 정착시킨 운지법과 활 기술의 원칙이 커다란 역할을 한 것이다. 이후 첼로에 고정과 동시에 공명을 증대시키는 스파이크가 도입되었고, 멜로디 악기로서 첼로가 갖는 남성적 바리톤 음색이 완전하게 완성되었다. 첼로는 당시 유행했던 현악 4중주와 3중주에서 저음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에서도 그 역할이 점점 커졌다. 그래서 당시 아마추어 음악가들 사이에서 첼로 연주가 유행처럼 번져나갔던 것이다. 그 가운데 첼로 애호가였던 프로이센 국왕에게 고전주의-낭만주의 음악의 가교로서 가히 혁명적 처녀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Op.5가 헌정된 것이다.

두 개의 소나타 Op.5는 기본적으로 2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으로서,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도입부와 알레그로, 그리고 론도로 이어진다. 두 작품 모두 첫 악장의 소나타 형식은 비교적 쉬운 방식으로 2주제가 등장하고 길고 두드러지는 피아노에 의해 재현부가 연결된다. 이들 소나타는 텍스추어에 대한 일종의 베토벤의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적인 1번, 2번 소나타와 원숙한 3번 소나타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1번, 2번, 3번은 그의 삶에서 각각 특징적인 시기에 작곡되었다. 1796년에 작곡한 Op.5는 초기 피아노 소나타들과 첫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이 작곡될 무렵에 작곡되었다. 베토벤이 한 해 전에 이미 첫 번째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서 베토벤은 18세기 전반부 바로크 작품들에서 느린 도입부에서 빠른 악장으로 넘어가는 형식을 찾아냈는데, 특히 2번 G단조 소나타의 오프닝에서 부점 4분음표 리듬은 프랑스 풍의 서곡으로부터 힌트를 얻은 것이다. 그러나 그는 ‘소나타’나 ‘1악장’ 형식의 의미에 있어서 느림-빠름의 바로크 풍의 패턴을 사용하긴 했지만 프랑스 스타일을 완벽하게 적용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모습은 첫 두 개의 첼로 소나타들의 긴 첫 악장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베토벤은 이런 방식으로 바로크 시대의 부드러움을 머금고 있는 느린 악구들이 빠른 악구를 유도하기 위한 도입부 성격을 가지는 구조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자신의 모든 첼로 소나타에서 이 형식을 반드시 사용했다. 1번과 2번 소나타의 1악장과 3번 소나타의 3악장이 특히 그렇다. 멜로디와 화성적 베이스를 연주할 수 있는 첼로는, 피아노와는 다른 표현 방식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그 표현 영역이 피아노와 유사하다. 그러나 각각이 독립적인 텍스추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 또한 특징이다. 더 나아가 마지막 5번 소나타에서는 이러한 형식을 확장해 낮은 음역의 느린 2악장과 푸가로 시작하는 빠른 3악장 모습으로 응용, 발전시켰다.

한편 교향곡 5번과 교향곡 6번이 작곡될 무렵에 탄생한 3번 소나타 A장조는 위대한 원숙함을 선보인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9개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했던 중기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눈물과 슬픔의 중간 단계라고 말할 수 있는 이 3번 소나타는 1807년부터 1808년 사이에 작곡되었는데 그 특유의 칸타빌레적이고도 우울한 성격으로 인해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도 직접적으로 대비된다. 베토벤은 보다 가벼운 음색과 질감을 탐구하고자 했고, 심지어 작품의 첫 오프닝에서 첼로가 혼자 진행하게 남겨두었다. 베토벤은 첼로를 독주악기로 활용해 첼로 소나타의 새 형식을 정립했다. 사진은 20세기 위대한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의 연주 장면.

이러한 독창적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은 쉽게 만족하지 않았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확장된 느린 악구 형식을 바이올린 소나타와 첼로를 위한 변주곡에 적용했으며, 기존 바이올린 소나타에서 사용했던 형식을 첼로를 위한 소나타와 변주곡에도 훌륭하게 적용해냈다. 동시에 첼로 소나타 3번에서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확장된 형식의 표본까지도 새롭게 창조해냈다. 이는 후대 작곡가들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베토벤의 노력에 의해 후대 사람들은 첼로 소나타 3번이야말로 이 장르를 대표하는 작품임을 비로소 깨달을 수 있었다. 물론 이후에 작곡한 첼로 소나타 4번과 첼로 소나타 5번에서 베토벤은 환상곡과 푸가를 소나타 형식과 결합하려는 새로운 도전을 다시금 선보이기도 했다.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제3번 A장조, 작품 69 (해석)

첼로 소나타 1번과 2번이 초기에 쓰여진 데 비해 3번은 그 작품번호가 말해주듯이 교향곡 제5번 [운명] 작품67, 제6번 [전원] 작품68 등이 작곡되었던 무렵, 그가 갖가지 고통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예술적으로 크게 성장했던 이른바 '명작의 숲' 이라고 일컬어지는 중기에 쓰여진 작품입니다. 기법적으로 초기에 쓰여진 두 작품보다 훨씬 성숙해졌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무엇보다도 그리 격동기에 쓰여진 작품임이 두드러지고, 표면으로 노출되려는 에너지가 좀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초기에 쓴 두 개의 소나타에는 느린 서주를 붙인데 반해서 3번 A장조는 서주가 없이 바로 제1주제가 등장합니다. 그러나 너무 빠르지 않게 알레그로 마 논 탄트로 피아노가 침묵한 채 첼로만으로 숨이 길게 그 노래를 펼쳐가다가 차츰 차츰 거센 호흡으로 고조시키고 있다는 것은 첼로라는 저현악기의 특성을 베토벤이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었던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초기의 작품보다는 그 격정이 노출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격정과 깊은 명상이 서로 얽히게 하면서도 격정이 고조되는가 하면 어느새 다시 명상 속으로 침잠하는 절묘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알레그로 몰토의 2악장은 스케르쯔 악장이면서도 얼핏 듣기에는 당김음으로 되어 있는 해학적인 듯한 주제 속에 비감이 가득 차 있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주춤거리게 됩니다.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는 5번을 제외하고는 느린 악장이 없습니다. 그 대신 1번과 2번에는 1악장에 느린 아다지오 소스테누토의 서주가 붙어 있고, 3번에서는 3악장에 아다지오 칸타빌라의 서주가 붙어 있습니다. 황홀한 정감으로 가득찬 피아노가 손을 내밀면 첼로가 가만히 그 손을 마주잡고 이끌려 오듯이 등장해서 두 악기의 대위법적인 처리로 서정성이 넘치는 이 서주는 짧게 그러면서도 너무나 많은 여운을 남기면서 알레그로 비바체의 주부로 빨려들 듯이 융해되어 갑니다.

 

 Mustislav Rostrofovich, Cello / S.Richter, Piano


I. Allegro ma non tanto
Mustislav Rostrofovich, Cello / S.Richter, Piano


II. Scherzo-Allegro molto
Mustislav Rostrofovich, Cello / S.Richter, Piano


III. Adagio. Cantabile-Allegro vivace
Mustislav Rostrofovich, Cello / S.Richter, Pi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