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후기(클래식 2013년)

[아름다운목요일] Baroque & Beyond - 6. 장중진 Viola Ⅰ/6.27.목/금호아트홀

나베가 2013. 6. 27. 00:30

 

 

 

 

Baroque & Beyond – 6.

장중진 Viola

 

Profile

 

장중진(Viola)

 

2006 4,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비올라 수석 임명된 장중진은 줄리아드 음악원, 템플대학교의 이스터 보이어 음악대학을 거쳐 커티스 음악원에서 바이올린과 비올라 학위를 취득하였다. 최근 솔로이스트로서 미국  수많은 리사이틀과 더불어 카네기홀에서의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가진 그는 한국과 중국 상하이를 내한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2008 아시아 투어에서도 협연자로 무대에   있다. 실내악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장중진은 말보로 페스티벌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의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엠마누엘 엑스, 제이미 라레도, 요요마 등과 같은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연주해왔다. 1997 결성된 요하네스 콰르텟의 창단 멤버로 필라델피아의 에티컬 소사이어티와 카네기홀에서 창단 연주회를 하였고, 이후 비평가들의 호평 속에 꾸준히 미국  연주를 해왔다. 장중진은 현재 미국 럿거스 대학교의 메이슨 그로스 예술학교와 템플대학교 음악대학 예비학교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헌재(Piano)

 

피아니스트 김헌재는 서울예고 재학  도독,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에서 수학하였다. Nerine Barrett 교수를 사사하며 학부, 석사과정, 최고연주자과정, 연주박사 학위를 최연소 최우수 성적으로 취득하였다(사사: 윤영미, Prof. Nerine Barrett). 다름슈타트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였고 쇼팽 협회가 수여하는 Ernst-Weitzel Memorial Prize 수상했으며  독일 청소년 콩쿠르 듀오 부문에서도 수상하였다. St. Petersburg Kammer Philharmonie 협연, Konzerthaus Berlin 유망신예연주, 바흐 서거 250주년 기념연주, 슈베르트 후기 피아노 소나타  메시앙 사중주 연주, Erich-Thienhaus Institut 개관 50주년  Detmolder Sommertheater 개관기념 연주  베를린, 하노버, 에센, 뉘른베르크를 포함한 독일 14 도시 주요 무대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자매 첼리스트 김유리와 듀오로 활동하고 있으며 참여한 음반으로는 ‘The Prayer of Cello-나의 위로자시여 있다. 현재 서울대, 성신여대 대학원,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에 출강 중이다.

 

 

Baroque & Beyond – 6.

장중진 Viola

 

Program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비올라다감바 소나타 3 g단조, BWV1029

Johann Sebastian Bach  Sonata for viola da gamba and keyboard No.3 in g minor, BWV1029

 

Vivace

Adagio

Allegro

 

 

파울 힌데미트 무반주 비올라를 위한 소나타, Op.25/1

Paul Hindemith Sonata for Solo Viola, Op.25/1

 

Breit Viertel

Sehr frisch und straff

Sehr langsam

Rasendes Zeitmaß. Wild. Tonschönheit ist Nebensache

Langsam, aber mit viel Ausdruck

 

 

 

I N T E R M I S S I O N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1 G장조, BWV1007 (비올라 연주)

Johann Sebastian Bach Suite for Solo Cello No.1 in G Major, BWV1007 (performed on Viola)

 

Prelude

Allemande

Courante

Sarabande

Menuet 1

Menuet 2

Gigue

 

 

파울 힌데미트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Op.25/4

Paul Hindemith Sonata for Viola and Piano, Op.25/4

 

Sehr lebhaft. Markiert und kraftvoll

Sehr langsame Viertel

Finale. Lebhafte Viertel

 

 

공연후기

 

아!!

이 대단한 연주자의 공연을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이 아닌 아주 작은 금호아트홀에서 보았다는 흥분은

공연장을 나서면서도 쉬이 가라 앉지를 않았다.

 

왜 안 그렇겠는가!

그의 심호흡에 함께 숨을 들이쉬고 내 뱉으며 한 몸으로 연주에 몰입해서 보았거늘....

 

대단한 연주자....장중진...

그는 2006 4,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비올라 수석으로 임명되었다.

 최근 솔로이스트로서 미국  수많은 리사이틀과 더불어 카네기홀에서의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가진 그는 한국과 중국 상하이를 내한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2008 아시아 투어에서도 협연자로 무대에   있다.

실내악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장중진은 말보로 페스티벌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의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엠마누엘 엑스, 제이미 라레도, 요요마 등과 같은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함께 연주해왔다.

 

무대에 선 그는 작은 무대때문인 지 유난히 커 보였다.

인물도 수려한데다가 바이올린 활을 잘못 가지고 나왔다고 하는 말에 목소리까지 바리톤 음색으로 얼마나 멋진 지....

그때 마침 누군가가 '정말 목소리도 좋은데~' 라고 지껄이는 소리가 어깨 너머로 들려옴에 미소가 입가에 인다.

 

그의 심호흡과 함께 바흐 선율이 쳄발로가 아닌 비올라의 선율로 무대에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아!!

그 첫 소리에 그만 반하고 말아 ...내 가슴속 탄성이 쏟아지고 말았다.

어떻게 비올라 소리가 저렇게 매혹적이지??

이제까지 내 귀에 익숙했던 그런 비올의 소리가 아니었다.

정말이지 고악기 활을 가지고 연주한 그의 첫 곡 바흐의 곡은 곡이 끝날 때까지 입을 다물 수 없을 만큼 소리나 연주에 있어서 매혹적이었다.

 

2번째 곡 '헌데미트'의 곡에서는 현대악기 활을 가지고 연주했다.

훨씬 더 다이나믹하고 소리도 좀 다르게 들렸다.

상당히 난해한 아방가르드 적인 이 곡에 또 이처럼 마력 처럼 끌려 들어갈 수 있었을까...

그건 확실히 현대 작곡가가 만들어 내는 소리 빛깔과 테크닉, 그리고 연주자의 연주 때문일 터다.

 

인터미션이 지나고, 2부에서도 첫 곡은 바흐의 곡으로 고악기 활로 연주했고, 두번째 곡 힌데미트 곡에서는 역시 현대 악기 활로 연주했다.

2부 곡에서의 바흐곡 역시 워낙 유명한 곡이지만 주로 첼로연주로 접하기 때문에 이 처럼 비올라의 연주로 듣기는 쉽지않다.

비올라의 아주 매혹적인 소리와 장중진의 연주하는 온 모습에 온전히 빠져들어 연주를 접하다 보니,

마치 정지된 시간 속에 들어갔다가 나온 것 처럼

공연 후 잠시 혼미함으로 앉아 있었다.

 

평소에 잘 눈에 띄지 않는 악기...비올라...

그리고 바흐 곡이야 워낙 유명하니 제쳐놓고라도 힌데미트의 그 난해한 곡에

이토록 매료되었던 적이 있었던가~

 

이제까지 흔히 접해보지 못한 비올라와 바흐..

그리고 실황으로 접하기 힘든 현대작곡가의 아방가르드 적인 힌데미트 곡...

그리고 훌륭한 연주자-장중진.

작은 공연장...좋은 분위기...

연주자에게 완전히 몰입할 수 있었던 가운데 앞자리....

 

정말 모든게 완전히 일치하며 멋지고도 감동적인 연주회를 만끽하지 않았나 싶다.

장중진의 연주회는 앞으로도 한 번 더 있다.

그때는 오늘 연주에 대한 추억으로 더 큰 기대감으로 공연장엘 가겠지??

 

모처럼 궁언니와 세윤씨와 함께한 공연이었다.

평일날 하는 공연이라서 늘 임박한 시간에 들어서니 제대로 커피 한 잔 할 새가 없다.

그래도 가끔 이렇게 공연장에서 부딪혀 잠깐 표정만 봄으로서도 그날의 공연을 함께 보고, 느끼고, 감동했음을 공유할 수 있어

좋다.

 

 

 

 

 

바흐 비올라 다 감바 소나타 제3번 BWV1029/듣기

http://blog.cyworld.com/pilami/3317550

 

 
Bach (1685 - 1750)
Sonata for Viola da Gamba & Harpsichord
no 3 in G minor, BWV 1029
비올라 다 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소나타
Jordi Savall, Viola da gamba
Ton Koopman, Harpsichord



1. Vivace (05'09)
 


2. Adagio (06'20)



3. Allegro (03'53)


비올라 다 감바와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집

BWV1027 ~ BWV1029의 세 곡이 비올라 다 감바와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
타로 이 세곡의 작곡연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1717년~1723년 무렵
의 쾨텐시절 작품이 아닌가 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당시 바흐의 지휘아래 있던 쾨텐의 궁정악단에는 크리스티안 페르디난드
아벨이라는 뛰어난 비올라 다 감바 주자가 있었는데 그가 바흐의 비올라 다
감바용 작품의 창작을 자극하지 않았을까 하는 점과 동시에 쾨텐 공 레오
폴트가 대단한 비올라 다 감바 애호가였다는 점이 그 같은 주장을 뒷받침한다.

누구보다도 하프시코드라는 악기의 생리를 잘 파악하고 있던 바흐는 이 세
소나타에서도 이를 단순한 콘티누오악기에 머물게 하지 않고 콘티누오의 역할
과 함께 오블리가토를 연주케 함으로써 마치 한 악기로 두대의 악기의 효과
를 내도록 하고 있다.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1번 G장조 BWV 1007

  
                        Johann Sebastian Bach (1685 - 1750)

개요
바로크 음악양식을 완성한 바흐는 1685년 독일에서 출생해 1703년까지 바이올린, 비올라, 오르간을 비롯해 음악교육을 받고, 아른슈타트,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 생활을 하다 1714년 바이마르 궁정악단 수석 연주자기 되었다. 1717년부터는 쾨텐의 레오폴트 공작의 궁정악장으로 활동하였는데 이때 그는 생애 최초로 교회음악 작곡(칸타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작곡활동을 하였다. 그후 1723년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의 합창단장에 취임하여 65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재직하면서 작곡활동을 계속하였다. 첼로를 위한 불후의 명곡으로 알려진 "무반주 첼로 조곡(모음곡)"은 1720년경 쾨텐시절에 쾨텐 궁정오케스트라 단원인 첼리스트 아벨을 위해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올린과 같이 화려하고 다양한 음색을 가지지도 못하고 기교의 범위도 좁은 그 당시의 첼로는 독주용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단지 합주에서 저음을 보강하고 다른 악기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는데, 바흐가 이 "무반주 첼로 조곡"을 작곡함으로써 독주악기로서의 첼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 그 위상을 높여 첼로 역사의 커다란 획을 그었다.

현재 흔히 첼로 음악의 구약성서라고 불려지는 "무반주 첼로 조곡"은, 19세기 이후 다른 바흐 작품들이 빛을 보게 된 이후에도 여전히 평가절하되고 있다가 - 연주하기가 너무 어렵고 음악성도 제대로 연구되지 않아 연습곡 정도로만 연주되고 있을 뿐이었다 - 20세기 첼로의 거장 파블로 카잘스가 발견, 연구, 연주하여 그후 첼로 음악의 최고의 명곡으로 인정받고 있다. 새로운 양식의 도입과 독일 음악의 전통, 그리고 종교적 깊이까지 더해 그 내용과 형식의 절대성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늘날 모든 첼리스트들이 정복하고 싶어 하는 필수적인 그리고 최고의 목표로 여겨지고 있다. 이 곡의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카잘스는, 13살 무렵 바르셀로나의 어느 고악보 가게에서 이 곡의 악보를 발견하고 12년간 홀로 연구 끝에 공개석상에서 연주하여 세상에 그 진가를 알리게 되었다. 거기에 대한 카잘스의 말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날 우연히 한 가게에서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을 발견했다. 뭐라 말할 수 없는 매력적인 신비가 이 6곡의 '무반주 첼로 조곡'이라는 악보에 담겨져 있었다. 그때까지 그 어느 누구에게서도 이 곡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없었고, 나도 선생님도 이 곡이 있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다. 이 발견은 내 인생에서 가장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
카잘스는 무반주 첼로 조곡 전 6곡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제 1번 낙관적(Optimistic), 제 2번 비극적(Tragic), 제 3번 영웅적(Heroic), 제 4번 장엄한(Grandiose), 제 5번 격정적(Tempestuos), 제 6번 목가적(Bucolic) 이러한 특성은 각 곡의 프렐류드(Prelude, 전주곡)에서부터 분명히 드러난다고 말했다. 제 1번부터 제 6번까지 모두 프렐류드-알르망드-쿠랑트-사라반드-미뉴에트(혹은 부레나 가보트)-지그의 6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대개 3번과 5번이 완성도가 높다고 하지만, 연주하기도 이해하기도 힘든 이 무반주 첼로 조곡의 첫 관문인 1번은 바흐가 "1번"으로 정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만큼 1번은 전체 조곡의 성격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그 첫 주제를 제시하는 교향곡에 있어서의 1악장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 1번부터 우리가 접근해 가는 것은 전체 6곡을 모두 이해하는 첫 걸음으로써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이 1번은 그렇게 난해하지도 않고 특히 프렐루드가 개방현으로 연주되는 풍부한 울림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 곡을 좋아하게 되신 후 직접 첼로를 배워보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셨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최근 CF에서 로스트로포비치 (EMI) 연주가 잠시 쓰임으로해서 대중적인 인기까지 끌고 있으니 더욱 반갑다.

    

1938/05/02 Mono  Suite for Cello Solo, No. 1 in G major BWV 1007
BACH
Pablo Casals (cello)
EMI

전주곡 (291KB)
알르망드 (432KB)
쿠랑트 (295KB)
사라반드 (276KB)
미뉴에트 (378KB)
지그 (221KB)
  
구성
그럼 제 1번 조곡의 형식과 특성을 알아보자.

1. 프렐류드 - 4/4 박자, G장조, 모데라토
그 멜로디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연속된 16음표들로 시작되며, 자유롭고 즉흥적이며 전체 조곡의 성격을 제시한다.
2. 알르망드 - 2/4 박자, G장조, 모데라토
독일풍의 춤곡으로 보통빠르기의 속도를 가졌다. 비교적 힘차고 빠르다.
3. 쿠랑트 - 2/4 박자, G장조, 알레그로 마에스토소(장엄하게)
프랑스의 옛 춤곡 형식이다. 힘차고 생동감있는 주제를 바탕으로 전개되며, 전후반이 같은 리듬 패턴을 취하고 있다.
4. 사라반드 - 3/4 박자, G장조, 라르고
옛 스페인의 춤곡으로 매우 느리고 장중하며 품위가 있는 곡이다.
5. 미뉴에트 I - 3/4 박자, G장조, 미뉴에트 II - 3/4 박자, G단조
지방에서 시작된 춤곡이나 궁중의 춤곡 형식으로 바뀌었으며 우아하고 매끄럽다. 장조에서 단조를 거쳐 다시 장조로 돌아오는 3부 형식이다.
6. 지그 - 6/8 박자, G장조, 알레그로
영국에서 시작된 춤곡 형식이다. 빠르고 경쾌한 곡이다.

추천음반
  
1964 Stereo  Suite for Violoncello Solo, No. 1 in G major BWV 1007
BACH
Morris Gendron (cello)
PHILIPS
  
이 곡에 대해 잘 알려진 명반으로는 카잘스, 푸르니에, 장드롱, 슈타커, 빌스마, 마이스키, 요요 마, 비스펠베이, 로스트로포비치 등 많이 있지만 그 중 개성이 뚜렷하면서도 이 곡을 처음 접하는 분들께 적당한 몇가지 음반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다.

먼저 추천음반으로는 모리스 장드롱의 음반(PHILIPS, 1964년 녹음)을 꼽았다. 그는 비교적 빠른 템포로 연주하며 일말의 불안함도 없이 기교적으로도 완벽하다. 당당하면서도 유려하게 연주하고 있어 곡 자체의 아름다움을 남김없이 이끌어 내고 있다. 스승인 카잘스처럼 스케일이 크며 당당하지만, 그 어떤 과장이나 군더더기없이 일관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고음의 유려함과 저음의 탄탄한 울림소리가 이 곡의 아름다움을 한층 더 빛나게 해 준다. 구조적으로도 탄탄하고 힘차고 아름다워서 비록 카잘스와 우위를 따질 수는 없지만 감히 청출어람이라는 한자성어를 쓰게끔 만든다. 음질도 상당히 좋다.

MPEG으로 준비된 파블로 카잘스 (EMI, 1936, 38, 39년 녹음)의 음반을 지나칠 수 없다. 첫 음절을 들어 보는 순간 카잘스라고 알아 차릴 정도로 다른 연주자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그 강렬함과 율동적임은 카잘스만의 것이다. '질서안에서의 자유'라는 카잘스 그의 삶과 음악에서의 철학이 그대로 투영되어 형식에 충실하기 보다는 내면 깊이 파고 드는 연주를 하고 있다. 그야말로 질서 속에서 최대한의 자유와 성찰을 표현하고 있는 전설적인 명연주다. 이 앨범은 "무반주 첼로 조곡"의 세계 최초의 전곡 녹음이며 이때 카잘스의 나이는 60세였다. 지휘자와 비교한다면 푸르트벵글러를 연상시킬 정도며, 모노 녹음이지만 그 스케일과 깊이를 느끼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특히 미뉴에트에서는 슬픔마저 느껴진다. 생전에 카잘스는 매일 전체 조곡중 하나를 연주했을 정도로 이 곡에 대해 남다른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외 중요 음반들을 짧막하나마 소개해드리면

피에르 푸르니에 (ARCHIV, 1960년 녹음):
푸르니에답게 우아하고 부드러운 연주를 하고 있다. 느린 템포에 그러면서도 연약함이 아닌 어느 정도는 당당함마저 느껴진다. 프렐류드부터 특유의 섬세함과 기품이 드러나는데, 푸르니에의 이러한 연주는 사라반드에서 곡의 성격과 맞물려 그 절정을 이룬다. 특히 여기서 상당히 여성적인 섬세함과 부드러운 감수성을 보여 준다.

안너 빌스마 (SONY,1992년 녹음):
바로크 첼로의 명수인 빌스마가 미국 워싱턴의 스미소니언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1701년에 제작된 Servais Stradivarius cello로 연주해 그의 자신감과 의지를 보여 주는 음반이다. 현대 첼로에 비해 음역과 음량이 부족하고 음색도 부드럽지 못하지만, 유명한 명악기인 이 첼로는 음색이 조금 어두우면서도 맑고 소박하여 고아한 기품이 느껴진다. 바흐 당시의 악기로 바흐의 곡을 듣는 것 자체로도 우리에게 큰 의미와 즐거움을 준다. 한편 빌스마는 조금 느린 템포에 여유로우며 감정에 치우침이 없이 치밀한 연주를 들려 준다. 프레이징은 조급하지 않고 항상 여유롭고 길다. 마지막 여운이 긴 것은 아무래도 이 고악기의 특성이 아닐까 한다. 상당히 사색적이어서 듣는 이에 따라서는 조금 지루함이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마지막 지그에서는 그게 웬 말이냐는 듯 상당한 빠르기로 연주해 따끔한 일침을 놓는다.

요요 마 (SONY, 1982년 녹음):
비교적 빠른 템포에 세련되고 편안한 연주를 들려 준다. 너무나 유려하고 아름다워서 이 곡이 연주하기 어려운 난곡이라는 것을 잊어 버리게 한다. 음색과 연주가 젊음과 기쁨에 넘쳐 젊은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각광을 받는 연주지만, 바흐의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는 음반이다. 하지만 요요 마 나름대로의 이 곡에 대한 견해와 주장이 담긴 이 연주는, 그 기교의 완벽함과 더불어 새로운 바흐 상을 제시한 뛰어난 연주라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음악듣기/http://jsksoft.tistory.com/3283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제1번 G장조 BWV 1007 /로스트로포비치  


      II: allemande (03:20)

        III: courante (02:34)
        IV: sarabande (03:21)
        V: menuet I (01:17)
        VI: gigue (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