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바트 마테르 [Stabat Mater]
원래 Stabat Mater는 음악의 가사가 된 종교시를 말한다. 이것은 1306 년에 사망한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야코보 다 토디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명은 '성모는 서 계시다'라는 뜻의 라틴어이고 내용은 아들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는 것을
바라보아야만 하는 성모의 고통을 노래한 것이다. 이 시가 점점 많은 이들의 입에 전해지면서 15세기 이후에는 특정한 날의
미사에 사용되기 시작한다. 트렌트 종교회의(1543-63년)에서 이의 사용을 금지하기도 했지만, 1727년 교황 베네딕 트 8세가 9월 15일의
성모통고 기념일이나 성금요일의 공식적인 성가로 인정하게 된다. 이러한 인기를 말해주듯 많은 작곡가들이 이 시에
곡을 붙였는데 오늘 듣게될 7명의 곡 외에도 조스캥 데 프레 등에 의해 작곡된 이래 G.P.팔레스트리나, G.B.페르골레시,
F.J.하이든, F.P.슈베르트, G.A.로시니, G.F.F.베르디, A.드보르자크 등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다시 편곡되었다.
그런데, 정작 성서에는 십자가 아래 성모의 고통을 묘사하는 장면이 전혀 없다. 마태오, 마르코, 루가의 복음서에서는 "또 여자들도 먼데서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그들 가운데는 막달라 여자 마리아, 작은 야고보와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살로메가 있었다. 그들은 예수께서 갈릴레아에 계실 때에 따라 다니며 예수께 시중들던 여자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특이하게도 요한의 복음서에서만 "당신의 어머니와 그 곁에 서 있는 사랑하시는 제자를 보시고 먼저 어머니에게 [어머니 이 사람이 당신의 아들입니다] 하시고 그 제자에게는 [이 분이 네 어머니시다]하고 말씀하셨다"라는 정도의 언급이 있을 뿐이다. 이 글 제목에 있는 말은 예수를 성전에 봉헌할 때 현자가 한 예언이다.
비록 이 시가 성모의 고통을 노래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주제 자체가 성모에 대한 신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성모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예수의 희생과 구원을 믿는다는 것을 주제로 한다. 고통은 어디까지나 인간적인 것이다. '신성'을 강조해야 하는 종교에서 이렇게 고통으로 '인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성을 강조하는 종교의 교리에 대한 신자들의 이해를 돕고 현실과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인간적인" 이 시가 필요했을 것이다. 신학 논리의 정서적인 거리감을 인간의 감정에 기대어 좁혀나가는 것이다. 신성에 대한 인간적인 이해-고통이라는 가장 솔직한 모습으로-라는 면에서 이 시의 매력이 있는 것이고, 수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끊임없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STABAT MATER(전문) - 니페(이준형)님의 개역판
1 Stabat Mater
dolorosa
당신 아드님 높이 달리신
Juxta crucem
lacrimosa,
십자가 곁에 성모 서시어
Dum pendebat
Filius
비통하게 우시네.
2 Cuius animam
gementem, 눈물과
고통속의 성모성심
Contristatam et
dolentem,
수난 칼에 깊이 찔려
Pertransivit
gladius.
참혹하게 뚫렸네.
3 O quam tristis et
afflicta
오직한분이신 독생성자의
Fuit illa
benedicta
축복받은 어머니께서
Mater
unigeniti
얼마나 슬프고 불행하신가.
4 Quae morebat et
dolebat,
아드님의 수난을 보는 비통
Pia Mater dum
vivebat
가슴을 에이는 고통중에
Nati poenas
inclyti.
성모 홀로 계시네
5 Quis est homo, qui non
fleret, 예수모친의 이런
고통
Christi Matrem si
videret
받으심을 보고,
In tanto
supplicio?
누가 울지 아니하리요?
6 Quis non posset
contristari, 성모 그 아드님
곁에서
Christi Matrem
contemplari 슬퍼하심을
보고,
Dolentem cum
Filio?
누가 통곡 아니하리요?
7 Pro peccatis suae
gentis
아드님 예수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Vidit Jesum in
tormentis
모욕과 채찍을 감수하심을
Et flagellis
subditum.
성모께서 보시고 계시도다.
8 Vidit suum dulcem
natum
당신 아드님의 죽음의 희생과
Moriendo
desolatum,
생명을 포기하는 외침소리를
Dum emisit
spiritum,
성모께서 보고 계시도다.
9 Eia Mater, fons
amoris,
사랑의 샘이신 성모여
Me sentire vim
doloris
저에게도 그 슬픔을 나눠주시어
Fac, ut tecum
lugeam,
저도 함께 울게 하소서.
10 Fac ut ardeat cor
meum
하느님이신 그리스도를
In amando christum
Deum, 사랑하는 불을
놓아
Ut sibi
complaceam,
제 마음이 타오르게 하소서.
11 Sancta mater, istud
agas
거룩하신 어머니여
Crucifixi fige
plagas
수난받으신 주님의 상처를
cordi meo
valide,
제 마음속 깊이 새겨주소서.
12 Tui nati
vulnerari
저를 위해서 상처입으시고
Tam dignati pro me
pati
괴로움 겪으신 주님의 고통을
Poenas mecum
divide,
저도 나눠갖게 하소서.
13 Fac me vere tecum
flere,
제가 이 세상을 사는동안
Crucifixo
condolere
당신과 함께 울며
Donec ego
vixero,
수난의 고통을 나눠갖게 하소서.
14 Juxta crucem tecum
stare, 십자가 곁에
당신과 함께 서서
Te libenter
sociare,
함께 슬퍼하는 것이
In planctu
desidero,
제 원이로소이다.
15 Virgo virginum
praeclara,
동정녀중의 동정녀이시여
Mihi iam non sis
amara,
저를 저버리지 마시고
Fac me tecum
plangere,
당신과 함께 울게 하소서.
16 Fac ut portem Christi
mortem 그리스도의 죽음과 수난을 마음에
새겨
Passionis fac
consortem
그와 수난을 함께 겪고
Et plagas
recolere,
그의 고통을 기억하게 하소서.
17 Fac me plagis
vulnerari
그리스도의 거룩한 상처를 저도 입어,
Cruce has
inebriari
십자가와 성혈로 인하여
Ob amorem
filii,
기쁨을 누리게 하옵소서.
18 Imflammatus et
accensus
정결하신 동정녀여
Per te, Virgo, sim
defensus 심판의 날에 저를
변호하셔서
In die
iudicii,
영원한 형벌을 면하게 하소서.
19 Fac me cruce
custodiri
십자가로 하여 구원받게 하시고
Morte Christi
praemuniri
그리스도의 죽음과 그 사랑으로 하여
Confoveri
gratia,
강해지게 하소서.
20 Quando corpus
morietur
제 육신은 죽을지라도
Fac ut animae
donetur
영혼은 천국의 영광을
Paradisi
gloria,
누리게 하여 주소서.
Amen.
아멘.
'음악 > 기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람스 교향곡 4번 마단조 작품 98 (0) | 2006.07.02 |
---|---|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4번 D 장조.810/죽음과 소녀 (0) | 2006.06.29 |
베토벤/현악4중주1번 F장조.op.18-1 (0) | 2006.06.22 |
베토벤/현악4중주.9번 A장조/op.59-3 (0) | 2006.06.22 |
베토벤/현악4중주 7번/op.59-1 (0) | 2006.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