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계의 미래를 짊어질 젊은 클래식 스타들의 대향연!
2009 금호아트홀 라이징 스타 시리즈 |
김규연(Piano)
"대담한 스케일과 열정적인 음악성이 돋보이는 연주,
깨끗한 음색과 서정적 깊이가 인상적인 아름다움".
김규연의 피아노 선율에는 나이를 초월하여 음악의 본질을 꿰뚫고 있는 여유와 패기가 담겨져 있다. 그녀가 재현해 내는 음악은 언제나 독특하고 개성 있는 색깔로 덧입혀져, 다양한 음악 세계를 만들어내곤 한다.
그동안 국내, 외 콩쿠르에서 꾸준히 입상하면서 음악계의 주목을 받은 그녀는 일찍이 소년한국일보 콩쿠르 대상, 한국음악콩쿠르 대상, Bartok-Kabalevsky-Prokofieve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Missouri Southern 국제 콩쿠르에서 2위에 입상했으며, 2001년에는 Gina Bachauer International Young Artists Piano Competition에서 1위에 입상했다. 또한, 2002년에는 Geneva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에서 최연소자로 참가하여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2006년,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AXA Dubl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에서 한국인 최초로 2위에 입상했다. 그녀는 이 콩쿠르에서 '최고의 협연자상'과 '모차르트 특별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한 2006년 한국음악협회 신인대상을 비롯하여 최근에 신한음악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 음악계의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일찍이 어머니인 피아니스트 이경숙의 영향과 가르침 속에서 성장한 김규연은 1998년 금호영재콘서트와 2001년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 데뷔를 시작으로 성남아트홀 라이징 스타 시리즈, 모짜르트홀 초청 독주회를 비롯하여 서울 스프링 실내악 페스티벌, 대한민국국제음악제, 부산국제음악제, 교향악 축제, 일본PTNA 페스티벌 등에 출연하였다.
1993년 서울 심포니와여 협연 무대를 시작으로 RTE 내셔날 심포니, 유타 심포니, 헝가리 채임버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수원시향, 성남시향, 코리안심포니 등과 협연하였고 미국, 일본, 호주, 아일랜드,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에서의 독주회 및 협연으로 기성음악인 못지않은 뛰어난 기량과 성숙한 연주로 차세대 한국 음악계를 이끌어 갈 피아니스트로 주목받고 있다.
김규연은 예원학교를 수석으로 입학, 졸업시에는 예원음악상을 수상하였다. 일찍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에서 조숙현과 강충모를 사사한 그녀는 예원 졸업 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로 선발되어 학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지난 5월 미국의 명문 커티스 음대를 졸업하였다. 이번 9월부터 뉴잉글랜드콘서바토리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변화경, 러셀 셔먼과 공부할 예정이다.
'연주가는 연주로 말한다' 고 강조했던 김규연이기에 앞으로 계속 성장해 가는 그녀만의 깊은 감성과 패기 넘치는 카리스마를 기대한다.
|
프로그램... |
루드비히 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번 가장조, Op.2 Ludwig van Beethoven Sonata No.2 in A Major, Op.2
Allegro vivace Largo appassionato Scherzo, Allegretto Rondo, Grazioso
루드비히 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1번 내림가장조, Op.110 Ludwig van Beethoven Sonata No.31 in A-flat Major, Op.110 Moderato cantabile molto espressivo Allegro molto Adagio ma non troppo Fuga, Allegro ma non troppo
I N T E R M I S S I O N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Modest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for Piano
Promenade/ No. 1, Gnomus/ No. 2, Il Vecchio Castello/ No. 3, Tuileries/ No. 4, Bydlo*Promenade/ No. 5, Ballet of the Unhatched Chicks/
No. 6, Samuel Goldenberg and Schmuyle/ No. 7, Limoges: The Market/
No. 8, Catacombs - Sepulchrum Romanum*Cum Mortuis in Lingua Mortua/
*The Little Hut on Chicken's Legs*The Great Gate of Kiev
Piano Sonata No.31 in Ab major, Op.110
베토벤 / 피아노소나타 31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Wilhelm Kempff, Piano |
이 소나타의 처음 착상은 1820년의 행복하고 평화로운 여름날에 얻었다고 하는데, 완성된 날짜는 베토벤 자필로 1820년 12월 25일이라 씌어 있다. 이 소나타는 아무에게도 헌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날짜는 알 수 없지만 베토벤이 신트라에게 부친 편지에 의하면, 이 내림가 장조 소나타와 다음의 다 단조 소나타는 브렌타노 부인에게 헌정하는 것이라고 쓰여 있음에도 완성된 작품에는 웬일인지 헌사(獻辭)가 없다.
천재의 창작 과정에서는 늘 크나큰 흥미로움과 놀라움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이 소나타와 같이 베토벤의 작품 중에서도 고상하고 우아한 아름다움이 흘러 넘치는 제1악장이나, 또 그의 생애의 고뇌가 그대로 드러나는 듯한 감동적인 아리오소와 푸가 등의 작품에서는, 그 창조적인 과정을 스케치 단계부터 상세히 짚어 볼 때 이런 느낌이 한층 강하게 든다.
제1악장 Moderato cantabile molto espressivo
1악장 (Moderato cantabile) Wilhelm Kempff, Piano
‘con amabilita’라고 쓰여진 주제에 의해 구름 한 점 없이 활짝 갠 날씨의 화창함과 그 다음 악절에 이어지는 사랑의 노래, 이와 같이 아름다운 악상으로 시작되는 작품은 베토벤의 다른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베토벤의 스케치 노트에 의하면, 이 아름다운 주제의 골격과 그 변화를 처음부터 단번에 써내려 갔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그것을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30의 3번, 사 장조의 주제와 유사한 데에서 지난 날의 행복한 추억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상상한다. 제2 주제는 음계의 하행 동기이며, 제1악장 전체의 행복한 기분 속에서 경과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전개부에서는 제1 주제의 이 ‘사랑의 주제’가 단조에 의해 제시되고, 그 후 여덟 번에 걸쳐 주제 반복이 이루어진 채 그대로 재현부에서 주제의 복귀가 이루어지는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스케치 노트에 의하면, 베토벤은 주제의 착상과 더불어 단조에 의한 전개부의 시작을 생각하고는 거침없이 단번에 재현부까지 써 내려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왼손 반주 부분의 음형에 대해서는 하나하나마다 변화를 주어, 이 부분에 대해 매우 고심하고 숙고하였음을 몇 번이나 다시 쓰여진 자필 원고를 통해 알 수 있다.
주제 반복 후 재현부는 제시부와 거의 같은 형식으로 쓰여져 있는데, 주목할 곳은 코다 부분이다. 이 몇 마디 되지 않는 선율에 대한 베토벤의 집착은 단순히 넘길 만한 것이 아니었다. 잊기 안타까운 이 행복한 기분을 어떻게 하면 마음을 끌 만한 선율로 나타낼 것인가에 대해 베토벤은 몇 번이나 고민을 거듭하며 다시 고치고 고쳤다. 그럼에도 그것은 처음 생각과는 달리 마음을 매료시키는 최선의 작품이 되지 못했던 것 같다. 행복했던 기분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한 평범한 악절은 몇 번이나 지워졌다가 다시 쓰이면서 보다 간결해지게 되었다. 여기에서 베토벤은 한번 쓴 악보를 고쳐 쓰는 데 있어서도 비범한 재주를 지녔음을 알 수 있다.
제2악장 Allegro Molto
2악장 (Allegro molto) Wilhelm Kempff, Piano
이것은 독립된 2박자의 스케르초이며, 불안한 기분과 당돌하고 제멋대로인 감정이 착잡하게 어우러진 삽입적인 악장이다. 이 주제의 착상은 제1악장의 제2 주제 동기를 검토함으로써 추측할 수 있다. 또, 마르크스에 의해 그 당시 유행했던 풍자적 민요 `난 쓸모 없는 놈이야’라는 노래의 반복 구절을 베토벤이 의식하여 거기에 짜 맞춘 것인지 어떤지도 확실하지 않다. 트리오는 한번 보면 전혀 다른 동기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잘 분석해 보면 스케르초 동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제1악장 제1 주제 종결부의 발전 선율에서, 또 제시부의 마지막에서도 그 동기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제3악장 Adagio ma non troppo
3악장 (Adagio ma non troppo) Wilhelm Kempff, Piano
아다지오는 레시타티브에 의한 서주부와 2중의 아리오소 도렌테와 푸가라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베토벤이 제1악장의 착상을 얻었을 때에는 이 작품에 개인적인 감상의 고백──즉, 그 자신의 마음 가장 깊숙한 곳에 담아 둔 생애의 고뇌에 대해서 호소한다는 점 등은 생각해 보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마침 그 즈음 5년이나 걸쳐서 펜을 움직이고 있었던 <장엄 미사> 작곡의 영향도 받은 베토벤은, 이 악장에서 신과의 직접적인 대화, 죽음의 고뇌와 그것에 대한 영원한 안식을 감지하고, 늙어버린 자신이 갈망하는 정신적 평화, 그러한 정신 내면 세계의 관조가 실로 심각하게 가슴을 죄듯이 슬픔에 넘치게 되면서 아리오소의 음악을 탄생시키게 되었다.
곡은 가슴속의 가장 깊숙한 문을 열듯이 전개된다. 또, 레시타티브가 갖는 무언의 호소력에 이끌려 베토벤은 고뇌하고, 자신의 비운을 탄식하고, 나아가 그 속에서 빛을 구하며 용기를 갖고 투쟁에 뛰어든 인생, 그것은 대체 무엇을 위한 것이었던가 등을 생각하며 체념에 잠긴 채 조용히 떠올리고 있는 것이다.
음원출처: 향기로운 삶의쉼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