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 리카르도 샤이, 협연 레오니다스 카바코스(7일)
프로그램
Dvorak Carnival Overture
Dvorak Violin Concerto
***
Dvorak Symphony No.7
황금빛 눈부신 선율, 세계 최고(最古)의 악단,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16년만의 내한공연
악단 고유의 철학적 사운드에 지휘자 특유의 색채감이 더해져 세계 최고의 관현악 향연을 펼치고 있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16년만의 내한공연. 2005년 카펠마이스터(음악감독) 취임 이래 바흐, 교향곡, 종교곡, 오페라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명연을 양산하는 리카르도 샤이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관현악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컬러의 마법사 리카르도 샤이와 마법과 같은 기교의 “악마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다스 카바코스가 펼치는 드보르자크의 만찬(카니발 서곡,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곡 7번)이 준비됐다.
Orchestra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 Leipzig Gewandhaus Orchestra
고색창연한 음향, 게르만의 중용이 흘러넘치는 세계 최고(最古)의 민간 관현악단
독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는 1743년 라이프치히의 상인 12명이 12명의 음악가를 초청, 게반트하우스(직물공장)에서 연주회를 연 것이 그 시초로 창단된 세계 최고(最古)의 민간 관현악단이다. 멘델스존이 1835년부터 이 악단의 종신 지휘자로 활약하면서 세계적인 교향악단으로 성장했으며 슈베르트 교향곡 9번을 초연하고 바흐 <마태 수난곡>을 재연하면서 음악사에 큰 획을 그었다.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브루노 발터, 프란츠 콘비츠니, 바츨라프 노이만, 쿠르트 마주어 등 당대 최고의 지휘자들이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를 거쳐갔으며 마주어, 블롬슈테트가 카펠 마이스터(예술감독)을 맡으면서 세계 최정상의 사운드를 주조해 나갔다. 2005년 9월부터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리카르도 샤이는 독일의 전통에 더해 색채적인 감각을 결합해 역사상 최고의 게반트하우스 사운드를 만들어냈다는 유럽 비평가들의 극찬을 얻고 있다. 1995년 거장 쿠르트 마주어와 함께 첫 내한공연을 가진 바 있다. 지금도 연주회 외에 토마스 교회의 종교음악 연주회나 라이프치히 오페라극장의 관현악단 역할도 겸하고 있다. 샤이는 전속사인 데카에서 음반을 제작하고 있으며, 동시에 아이튠즈 등을 통해 온라인 음원 시장에도 연주회 실황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에도 두 차례 내한한바 있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바흐오케스트라를 비롯해 단원들이 자체 결성한 실내악단 활동과 실내 관현악단 활동도 병행되고 있다.
Conductor
리카르도 샤이 |Riccardo Chailly
철학적 깊이에 특유의 색채감을 불어 넣는 지휘계의 절대 강자
1953년 밀라노 태생으로 아바도. 무티와 함께 세계를 주름잡는 빅3 이탈리아 지휘자이다. 공업학교를 다니다 음악으로 전과해 피아노와 지휘를 베르디 음악원에서 마친 이색 경력의 소유자이다. 일찍부터 콘서트와 오페라에 고루 절정의 기량을 발휘했고 베를린 필, 빈 필 정기 연주회의 단골 지휘자이다. 밀라노 스칼라 오페라. 빈 슈타츠오퍼 등 초일류 오페라 무대에 서고 있으며 잘츠부르크, 루체른 페스티벌에도 자주 출연한다. 베를린 도이치 심포니, 로열 콘서트헤보. 밀라노 베르디 심포니 음악감독을 역임했고 2005년부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카펠마이스터로 재직 중이다. 브람스와 모차르트의 독일 고전에 참신한 아이디어와 라벨, 드뷔시의 인상파 음악의 감각적 해석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1980년대부터 천착해온 브루크너 교향곡의 해석에는 세기적 대가의 풍모가 물씬하다. 1984년 영국 로열 필과 내한해 피아니스트 이경숙과 베토벤 협주곡 5번을 협연했고 1996년 9월 로열 콘서트헤보와 내한해 피아니스트 마리아 조앙 피레스와 모차르트 협주곡 27번,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을 지휘했다.
Violinist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7일 협연) | Leonidas Kavakos
벨벳의 질감과 현란한 기교, 고품격 바이올린의 표준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라는 별칭을 가진 1985년 시벨리우스 콩쿠르 1998년 파가니니 콩쿠르 우승자. 1991년엔 세계 최초로 오리지널 버전 시벨리우스 협주곡을 녹음했다. 베를린 필. 빈 필 등 초일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정기적으로 출연하고 있다. 2001년 지휘자로 데뷔해 2007년부터 카메라타 잘츠부르크 음악감독으로 재직중이다. 현재 프랑크 페터 침머만,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니콜라이 즈나이더와 함께 세계 남자 바이올리니스트 시장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1692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Falmouth’.
Kyung Wha Chung - Dvorák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 Riccardo Chailly
Dvorák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1879-80년의 작품으로 드보르작의 단 하나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40세를
전후해 그 명성은 드디어 세상에 알려졌으며, 한 걸음씩 대가의 위치로 나아가
고 있었던 때의 작품이다.
물론 그는 고전 협주곡의 형식을 따랐고 오케스트라와 독주 악기와의 교대가 역시 그 유형을 따랐다.
하지만 전곡을 통하여 어려운 기교를 구사하여 자유 분방하고 화려한 필치는 그 나라의 국민악파를 대표할 만한 작품이라 하겠다.
전곡은 3 악장으로 나뉘고, 주요 선율 속에는 보헤미아 민요의 자취와 그
향토풍 무곡의 그림자가 떠오르는데, 그 향기는 매우 높다.
제1악장 Allegro ma non troppo g단조4/4박자. 오케스트라의 힘찬 음향에 뒤이어
독주 바이올린의 주요 테마가 나타나고 여기서는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더구나 이 악장은 독주 바이올린의 눈부신 활약을 엿볼 수 있다.
제2악장 Adagio ma non troppo F장조 3/8박자. 느린 템포이며 자유로운 가요풍의 형식으로 이루어졌는데,
전곡 중에서 가장 들을 만한 부분이다.
보히마아풍의 제2테마는 독주 바이올린에 의해 자유 분방하게 발전되며,
경과구를 지나면 열정적인 부테마가 현악기들에 의해 자못 무거운 표정으로 연주된다.
제3악장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A장조 3/8박자. 론도 형식. 이 악장은 슬라브 무곡과도 같은
민속 무곡을 소재로 한 것이다.
더구나 마지막에 독주 바이올린의 현란하고 호화스런 연주는 바이올린의 지닌 특성을 유감 없이 발휘시켰다.
Kavakos - Dvorak I mov
Kavakos - Dvorak II mov (1)
Kavakos - Dvorak II mov (2)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Leonidas Kavakos 연주 듣기...
Leonidas Kavakos: Prokofiev - Violin Concerto No. 1 in D major, Op. 19 (Mariinsky Orchestra)
Dvořák: Symphony No.7 in D minor - Chung / Tokyo Philharmonic Orchestra
공연후기
얼마나 애간장을 태웠던 공연인 지.....
아마 2011년 공연중 가장 기대되는 공연으로 티켓팅 날짜만을 고대하다가 최초의 순번을 다투며 티켓팅을 한 공연일 것이다.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뛰는 '리카르도 샤이'가 온다니...아마 나뿐만이 아니라 클래식 매니아라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항상 너무나 사랑하는것엔 꼭 질투의 여신이 개입하는 법....
너무나 엄청난 사건이 터진것이다.
등.반.사.고
얼음이 채 녹지않은 바위에서 미끄러져 굴러떨어진 것이다.
얼굴을 크게 다쳐 수술을 했다.
그 와중에도 공연걱정-바로 오늘과 내일의 공연-을 하고 있었으니...
어쩌면 우울증에 빠지지 않고 삶에의 열정을 한 순간도 놓지않을 수 있었던 매개체가 되었는 지도 모르지만....
아니, 얼굴이야 어떻든 머리 안다치고 귀와 눈이 멀쩡하다니 그저 감사하기만 했다.
차마 의사선생님한테 공연 얘기는 못하고, 이때쯤 외출을 할 수 있을까...하고 급기야는 물었다.
아!! 이 사실을 걱정에 휩쌓인 식구들이 알았다면 얼마나 한심한 생각이 들었을까...
차라리 다행이라고 ...
혹시 그랬을까??
암튼...
두려움과 걱정속에 한 달이 지나고 나의 첫 외출의 행선지는 예술의 전당이 되었다.
그저 집을 나서는 그 순간부터 한편의 영화처럼 감동의 도가니로 빠져드는 순간이었다고나 할까??
그저 일상처럼 느껴졌던 공연장 나들이가 이렇듯 긴장감까지 돌게 만들다니....,
모든것이 극적이기도 했지만 분명 이 역사적인 라이프찌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와 샤이 때문이겠지??
오케 단원들이 주욱 무대로 나서 자리에 앉는 모습이 마치 전설속 사람들이 무대에 오르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 짧은 순간에 이 대단한 오케스트라의 무구한 역사와 전설속 지휘자들이 머릿속을 훑고 지났다.
드디어 '리카르도 샤이'가 문을 열고 나온다.
나는 박수칠 겨를도 없이 망원경을 그에게 맞춘 체 시선 고정이다.
드디어 '카니발 서곡'이 힘차게 연주되기 시작했다.
다리까지 번쩍 번쩍 들어가며 열정적인 지휘를 하는 샤이의 모습에 시작부터 압도당하기 시작한다.
아!! 잉글리쉬혼이 울려퍼지고, 목관악기...그리고 악장의 바이올린 솔로...
너무나 서정적이고 슬프고 아름다운 드볼작 특유의 보헤미안의 정취속으로 한없이 빨려들어갔다.
그런가 하면 어느새 경쾌 발랄함으로 분위기가 확연히 바뀌었다.
그 작은 피콜로 소리는 얼마나 당당하고 명쾌한 지....실황에서만 느낄 수 있는 명쾌함이랄까....
금관의 화려하고도 멋진 팡파레....힘찬 총주로 첫곡을 끝내고
드디어 흔히 들을 수 없었던 드볼작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을 차례가 되었다.
지휘자와 함께 그리스가 낳은 바이올린의 귀재 '레오니다스 카바코스'가 무대로 나온다.
큰 체구, 검은 머리, 짙은 눈썹, 짙은 수염이 너무나 강렬하다.
마치 우뚝 서 있는 거대한 큰바위 얼굴같은 강인함이 느껴졌다.
웅장한 투티로 문을 연뒤 무반주로 이어진 바이올린 솔로 연주가 화려하게 펼쳐졌다.
와아~ 끊어질것 같은 초절정까지 오르는 저 바이올린 소리....
스트라디바리우스....
정말 시작부터 소름이 쫘악 돋아 올랐다.
그리고 연주 내내 정말 숨을 쉴 수 없었다. 아니, 그 큰 공연장에 숨소리 조차 들리지 않았다.
고요함이...아름다움이...
정말 매혹적이었다.
시종일관 거의 움직임없이 연주에 몰입하고 있는 카바코스와 관객이 혼연일치가 되었었다고나 할까....
아무도 없고 오로지 음악만이 있었던 순간....
오보에와 플릇, 호른이 서로 한 소절씩 대위법적으로 연주하던 순간도 정말 아름다웠다.
아!! 2악장의 끝은 또 얼마나 매혹적이던가....
기인 여운으로 사라지듯 연주하던 호른의 연주는 판타스틱했고
그리고 바이올린도 따라서 아주 기인 여운으로...세상에서 사라지듯....했던 연주는 가슴이 아플정도였다.
잔잔함...
고독...
그리움....
드볼작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절정에 다다른것 같은.....
경쾌하고 발랄한 3악장에서의 목관-오보에,플릇,클라리넷과 호른은 또 적재적소에서 홀로 아름답게 빛을 발하며 바이올린을 받쳐주고,
스트라디바리우스는 시종일관 더없이 고혹적이며 매혹적으로 연주되었다.
정말 스트라디바리우스가 내는 초고음은 애간장을 끓게한다.
영화 '레드바이올린'에서 처럼 연주자 자신도 이 매혹적인 소리에 빨려들어가 혼이 빠져 연주하는건 아닐까...,뜬금없는 생각이....
그 사이 격정이 휘몰아 치듯 일순간 총주가 거대하게 일며 연주는 끝이 났다.
환호소리가 객석을 뒤덮었다.
그리고 이어진 앵콜....
화려함으로 점철된 비르투오조가 아닌 너무나 차분하고 고요한....아니, 적막감이었지~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서 처럼 마녀의 주술로 인해 순간 시간이 멈춰버린것 같은 ....
모든것이 그의 연주에 빨려들어가 마치 정지한것만 같았어.
바쁜 일상속에서 정신없이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기인 휴식과 위안을 주는 듯한 그런 느낌.....
정말 그 어떤 격정적이고 화려한 비르투오조 보다도 감동적인 순간이었다.
분명 혼자 연주하는데 다른 사람이 반주를 넣어주고 있는 듯한...고난이도의 연주 ......
인터미션에 준비해가지고 간 치즈케잌과 커피를 마시며 감동을 추스렸다.
그리고 드보르작 교향곡 7번으로 2부를 맞았다.
들릴듯 말듯 팀파니의 먹먹함위에 비올라와 첼로가 단조의 음울한 주제를 읊으며 시작된 7번 교향곡이 강한 흡입력으로 빨아들인다.
그리고 순간 순간 울려퍼지는 너무나 매혹적인 오보에의 선율은 귀를 쫑긋하게 만들었고,
플룻과 클라리넷이 연주하는 아름다운 제 2주제를 비롯 목관의 연주는 정말 오케스트라의 꽃이란 생각이 들게했다.
아다지오의 2악장은 언제나 가슴 절절하다.
난 어떤 곡에서든 아다지오가 가슴이 아프다.
슬픔과 아름다움이 항상 교차되면서 마치 같은것일 지도 모른다는 착각이 들정도로 동시에 느껴지는 것이다.
클라리넷의 독주가 드보르작의 가슴으로 잦아들게 하며 마냥 그리움속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이다.
저현부의 묵직함이 압도해오고...
목관의 가냘픔과 아름다움은 매혹적이기까지 하다.
특히 플릇의 소리는 오늘따라 유난히 천상에서 울려퍼지는 것 같다.
마치 2악장은 플릇과 오보에를 위해 만들어진 곡같다는 느낌마저 들정도였다.
꿈속을 하염없이 비상하다 갑자기 밀어닥치는 거대함에 또 가슴을 쓸어내린다.
바다에 큰 해일이 일어나 삼키듯....
쓰나미같은 격정이 또 내 안에 몰아친다.
그리곤 하염없이 잦아드는 끝맺음....
아~~ 정말 숨이 멎어들어간다.
샤이도 그저 가만히 서있기만 한다.
아무것도 없는 무의 경지까지 끌고 가라는 것....??
2악장의 여운을 한동안 끌고간뒤 3악장 들어갔다.
경쾌 발랄하면서도 너무나 아름다운...체코의 민족적 정서가 물씬 풍기는 선율.....
밀고 당기듯 너무나 맛갈스런 연주로 매료시키는 샤이....
3악장의 시작과는 달리 3악장이 끝나자 마자 곧바로 4악장 들어갔다.
격정이 몰아친다.
샤이의 표정이 궁금해졌다.
아무래도 얼굴 가득한 구렛나루 수염까지....지금 이순간 한마리의 표효하는 사자같지 않을까....상상되었다.
드볼작의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모든 에너지가 분출되고 있는 듯한 느낌의 4악장.....
정말 대단했다.
함성과 박수갈채가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 가득했다.
열광하는 관객들앞에서 두손을 가슴에 꼬옥 모아쥐고 활짝 웃는 모습이 어쩜 그리 소박해 보이는 지...
금새 앵콜 연주 들어갔다.
슬라브무곡 2번....
아!! 트라이앵글에 시선 꽂혔다.
가끔은 이 작은 악기에 매료당하곤 한다.
아주 짧은 순간 무대 가득한 오케스트라 소리를 뚫고 울려 퍼지는 영롱한 소리는 당당하고 매혹적이기까지 하다.
즐거움보다는 슬픔에 쌓인 무용수가 무대위에서 춤을 추는것 같은 느낌이...아니, 영상이 오버랩되었다.
와아~ 그런데 뜻밖에도 앵콜연주가 또 들어간다.
이번엔 슬라브무곡 7번이다.
신명남이 날쌘돌이 같기도 하고...
얼음땡 놀이를 하고 있는것 같기도 하고....
엄청난 에너지를 뿜어내며 마지막 앵콜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객석....난리가 났다.
객석도 연주자들도 지휘자 샤이도 모두 감동의 도가니에 빠진듯하다.
실황의 이 함성속에 있음이...연주자들의 감동에 빠진 벅찬 표정을 볼 수 있음이...
연주못지 않은 감동과 에너지를 받음이 분명하다.
그래서 행복하고도 아름다운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ㅎㅎ
공연이 끝나고 이 철없는 아내의 외출이 걱정되는 지 남편이 공연장까지 데릴러 왔다.
감동은 질투의 신이 방해를 한것 몇 배로 배가 되었다는.....ㅎㅎ
그나 저나 내일도 또 예술의 전당에 온다고 하기가 쫌 민망해진다.
'공연후기-(클래식 201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향 명협주곡시리즈1/카퓌송협연/3.11.금/예당 (0) | 2011.03.02 |
---|---|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부르크너8번 /리카르도샤이/3.8.화 (0) | 2011.03.02 |
서울시향 2011말러시리즈2/교향곡 5번..../1.21.금/예당 (0) | 2011.01.22 |
빈 슈트라우스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임선혜 신년음악회/1.20.목/예당 (0) | 2011.01.20 |
서울시향 2011년 말러시리즈 1/1.14.금/예당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