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 / 김종덕 Jong-Duk Kim, Conducto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 중 동아음악콩쿠르 오보에 부문 1위 입상으로 일찍부터 그의 재능을 인정받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과 동시에 서울시립교향악단 오보에 수석주자로 전격 발탁된 그는 10여 년간 오케스트라 활동은 물론 수많은 실내악 연주회와 독주회 등을 통해 목관악기의 연주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목관 연주자이다.
1984년 Temple University와 Rotterdam Conservatorium에서 오보에와 실내악 디플롬을 받고 귀국한 후에도 그는 끊임없는 연주활동과 후진양성에 열성을 다하는 한편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비롯하여 서울시향, 광주시향, 전주시향,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챔버오케스트라등을 객원지휘하면서 활발한 지휘 활동을 동시에 펼쳐 왔다. 1993년 서울시립청소년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위촉받은 그는 음악회에 영상을 도입 하는등 획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하여 특히 청소년층에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청소년 관객확보에 크게 기여한 반면 일본 시츠오카에서 개최된 국제청소년음악제 초청연주회 성공으로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존재를 한껏 높여 놓았다. 1998년 한국음악협회에서 수여하는 한국 음악상을 수상하기도한 그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충남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 취임하여 충남교향악단을 정상의 오케스트라로 성장시키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올린 / 양고운 Yang, Kowoon, Violin
섬세하고 지적인 연주, 새로운 것을 향한 끊임없는 노력은 바이올리니스트 양고운을 상징하는 키워드이다. 1991년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에서의 입상으로 시작된 양고운의 화려한 경력은 파가니니 곡들과 함께한 19살 비르투오조 바이올리니스트로 출발했지만, 매해 성숙을 더해 더욱 깊이 있는 음악과 다양한 레퍼토리로 한국의 대표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1년 귀국 후 양고운은 해설과 함께하는 음악회, 무반주 바이올린 음악회, 러시아의 근대음악, 바흐 소나타와 파르티타 전곡 연주를 통해 본 바흐의 신앙, 바이올린으로 연주되는 슈베르트와 슈만의 가곡들 등 특별한 주제를 지닌 음악회들을 기획하여 청중들에게 새로운 기쁨을 선사해 오고 있다. 이외에도 2005년에는 홋카이도 초청 연주회를 통해 일본 청중들과의 교류를 성공리에 마치기도 하였다. 2008년에는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미묘한 색채를 그려낼 독주회를 기획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런던 위그모어 홀에서의 초청 독주회가 있을 예정이다.
양고운은 한양대학교(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예원, 서울예고에 출강, 후학 양성에 힘을 쏟으면서도 뮌헨 심포니커, 모스크바 필하모닉, 프라하 방송 교향악단, 비엔나 컨서트 페어라인, 영국 더비 필하모닉, Chetenham Symphony Orchestra, 르비브 필하모닉, 비엔나 모짜르트 오케스트라, 북경중앙오케스트라, 상해필하모닉 오케스트라, KBS 교향악단, 서울시향, 부천시향, 수원시향, 인천시향, 대구시향 등 국내외의 저명한 교향악단과 함께 국내와 유럽무대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실내악 활동에 있어서도 2001년 창단한 토노스 트리오의 활동 이외에도 바로크 합주단에서의 활동 등 다양한 그룹을 망라하는 주목받는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KBS 오케스트라와의 차이코프스키 협연 CD (KBS 미디어)”, “Ysaye Sonata 전집 (Sony Music)”, “바이올린 켜는 엄마 (Sony Music)”, “낭만적 소품집 CD (NICES)” 와 “한국의 연주자 시리즈 CD (KBS 미디어, 2회)” 등을 출반한 양고운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거쳐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의 학•석사 과정과 뮌헨 국립음대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을 역임하였다. 이민용, 김민, 김남윤, James Buswell, Robert Lipsett, Felix Andrievsky, Gottfried schneider 교수를 사사하였다.
충남교향악단 Chungnam Philharmonic Orchestra
충남교향악단 은 지역문화의 발전과 충남 지역주민의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1990년에 창단된 국내 최초의 도립교향악단이다. 1991년 첫 연주를 시작으로 수회의 정기연주회, 지역순회연주회, 특별연주회와 사회복지시설, 농어촌 주민등 문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음악회등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욕구를 충족 시킴은 물론 국내 음악 애호가의 저변확대를 통한 클래식 문화 예술 창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초대지휘자 박종혁을 비롯하여 이병현, 장준근 지휘자를 거쳐 김종덕 상임지휘자에 이르기까지 단원들의 탄탄한 음악적 기량은 충남교향악단이 꾸준히 성장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음악계에서 보기 힘든 참신하고 진취적인 기획력 또한 충남교향악단이 예술적 도약을 도모하는데 바탕이 되고 있다. 충남교향악단은 예술적 최고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하여 국내 정상급 교향악단의 대열에 머물러 있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적인 교향악단으로 성장하기 위해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국내 공연문화를 선도하는 진취적인 단체로서 앞장서고 있다.
프로코피에프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g단조 Op.63
S. Prokofiev / Violin Concerto No.2 in g minor, Op.63
스트라빈스키 / 페트르슈카
I. Stravinsky / Petrouchka
프로코피에프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g단조 Op.63
S. Prokofiev / Violin Concerto No.2 in g minor, Op.63
21세기 서양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러시아 출신의 작곡가 프로코피에프(Segey Prokofief,1891∼1953)는 대단히 뛰어난 피아니스트이기도 하였다. 때문에 그의 피아노 작품들, 특히 5곡의 피아노 협주곡은 한결같이 시적(詩的) 분위기와 혁신적인 연주기교를 반영하고 있어서 20세기에 만들어진 가장 주목받는 협주곡으로 인식될 정도이다. 그런데, 이에 반해서 그의 2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로맨티스트의 협주곡처럼 여전히 서정적이고 선율적인 성격이어서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물론 바이얼린 협주곡에서도 프로코피에프는 대가적인 기교를 요구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속성은 다분히 전통적인 내용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2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20년이라는 시간적 간격을 갖고 작곡되었다. 따라서 음악적 접근 방법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풍요로운 선율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제 1번과 흡사한 작품이다. 1935년의 작품이며 원곡(原曲)은 바이얼린 소나타이다. 프로코피에프는 이 작품을 완성한 이듬해에 다시 조국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이 작품엔 작곡가가 겪은 격변의 시대가 반영되어 있다. '양식의 단순화'가 그것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 역시 대단히 열정적이고 로맨틱하다. 특히, 제 1악장과 2악장이 그런 성격인데 발레 음악인 <로미오와 줄리엣>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나 제 3악장은 매우 리드미컬한 악곡이어서 근대 작곡가로서의 프로코피에프의 개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1악장 (Allegro Moderato)
Jascha Heifetz, Violin
Boston Symphony Orchestra / Charles Munch, Cond
Jascha Heifetz, Violin 3악장 (Allegro, ben Marcato)
Jascha Heifetz, Violin
Boston Symphony Orchestra / Charles Munch, Cond.
Petruschka
스트라빈스키 / 무용모음곡 '페트루슈카'
Igor Fedorovich Stravinsky 1882∼1971
한 여자를 사랑한 두 명의 남자, 그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페트루슈카>는 스트라빈스키와 디아킬레프가 손잡고 만든 작품으로, <불새>이후에 작곡된 두 번째 발레음악이다. 현재까지 꾸준히 연주되고 사랑 받는 현대 명곡 가운데 하나이다. 1830년경, 러시아의 수도에서 열린 사육제를 배경으로, 세 개의 손가락 인형에게 생명이 부여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발레니나 인형을 사랑한 페트루슈카 인형. 하지만 발레리나는 그의 고백을 거절하고 페트루슈카는 슬픔에 빠져 괴로워한다. 다시 마음을 고쳐먹고 그녀에게 다가가지만, 그녀를 사랑하는 또 다른 인형, 무어인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된다. 스트라빈스키의 자서전에 의하면, 그는 이 작품을 완성한 후, 주연 인형의 개성을 표현할 만한 이름을 고심하던 중 ‘페트루슈카’라는 이름을 생각해내고 뛸 듯이 기뻐했다 한다. ‘페트루슈카’는 러시아 농민의 흔한 이름인 페터의 애칭이다. 이루지 못하는 사랑을 하고 결국 악한에게 비참한 말로를 맞는 주인공을 통해 당시 러시아 농민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민족주의적 성향과 함께 탁월한 심리묘사를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된다. 스트라빈스키의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담고 있는 곡으로 평가받는 <페트루슈카>는 민요선율의 차용과 더불어 전개 없이 반복되는 모티브가 특징적인 곡이다. 또한 작품명을 그대로 인용한 ‘페트루슈카 화음’은 스트라빈스키만의 음악어법을 탄생시켰다 작품구성 페트루슈카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1947년 개작) 제1곡: 대사육제 (The Shrove-tide Fair) 제6곡: 사육제의날, 페트루슈카의 죽음 (The Shrove_tide Fair and Death of Petrushka) 제7곡: 유모의 무곡 (Wet Nurses Dance) 제8곡: 곰과 손풍금을 켜는 농부 (Pesante with Bear) 제9곡: 집시와 장사꾼 (Gypsies and a Rake-vendor) 제10곡: 마차꾼과 마부의 무도 (Dance of the Coachmen) 작품해설 페트루슈카 Petrouchka 미국 작곡가 I.F.스트라빈스키의 발레음악. 전 4악장. 스트라빈스키와 A.N.브누아의 대본에 의한 4개의 정경으로 이루어진 벌레스크풍 발레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1911년 6월 파리 샤틀레극장에서 S.P.디아길레프가 이끄는 러시아발레단(주연;나진스키)의 공연과 P.몽퇴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니콜라이 1세 치하의 페테르부르크를 무대로 세인형 사이에 펼쳐지는 사랑의 비극이 그 내용으로, 러시아 하류계층의 비극·불행을 다루었다. 음악은 근대감각을 살린 홀수박자와 폴리리듬을 사용한 러시아민요를 도입한것이 특징이다. 이 음악의 기교·미학은 같은시대 음악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인류의 역사는 권력을 가진 이들에 의해 씌어져 왔고,상대적으로 힘없는 이들은 그들의 그림자에 가려졌다. 권력과 무지 사이에서 방황하는 인간의 나약함과 이중성은 우리의 또다른 얼굴이며,이러한 모습을 심도있게 보여주는 발레 작품 중의 하나로 ‘페트르슈카’를 들 수 있다. 3개의 커다란 인형을 극중 인물로 등장시킨 이 작품은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음악에,미하일 포킨 안무로 1911년 디아길레프 러시아발레단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다. 1830년,부활절이 며칠 남지 않은 상트 페테르스부르크 광장의 사육제 시장은 인파로 붐빈다. 가설흥행장과 수레 상점 그리고 각 계층의 사람들. 가설흥행장의 주인인 인형 조종사가 등장해 피리를 불며 사람들을 끌어들이면 ‘페트르슈카’는 극중극의 형태로 시작된다. 막이 열리면 세 개로 나누어진 방에는 부동자세의 인형이 있다. 새빨간 의상의 발레리나가 가운데 방에 있고,그 오른쪽 방에는 창백한 얼굴의 페트르슈카,왼쪽 방에는 칼을 찬 늠름한 체격의 무어인이 있다. 페트르슈카는 발레리나에게 사랑을 느끼지만 발레리나는 오히려 무어인에게 관심을 보이면서 제1경이 끝난다. 제2경에서는 방에 갇혀 있는 페트르슈카가 고독과 고뇌,발레리나에 대한 사랑 그리고 연적인 무어인에 대한 증오심을 호소한다. 이때 발레리나가 나팔을 불며 들어오고 페트르슈카는 너무 기뻐서 자신의 사랑을 전하려 하지만 서투름으로 인해 발레리나는 도망쳐 버린다. 제3경에서 무어인이 코코넛으로 장난을 치다가 가지고 있던 신월도(新月刀)로 코코넛을 깨려한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자 코코넛에 신(神)이 들어있다고 생각하고서 마루 위에 놓고 엄숙히 회교도식의 절을 한다. 이때 무어인의 위풍당당한 풍채와 힘에 반한 발레리나가 들어와 진묘(珍妙)한 파드되가 시작된다. 페트르슈카는 사랑하는 발레리나를 지키려 하지만 무어인은 자신의 신월도로 그를 쫓아버린다. 페트르슈카가 나가자 무어인은 발레리나에게 구애를 시작한다. 제4경은 다시 눈 내리는 황혼의 사육제. 축제 분위기가 한층 무르익으면서 군중의 수도 늘어난다. 곰사육사들이 재주를 부리는 가운데,우아하면서도 경쾌한 러시아 농민의 춤과 마부들의 힘있는 춤이 시작된다. 이때 갑자기 무어인에게 쫓기고 있던 페트르슈카가 군중 속을 헤치며 뛰어들어 온다. 발레리나의 저지에도 불구하고 무어인은 칼로 페트르슈카를 쓰러뜨리고 만다. 삽시간에 군중들이 쓰러진 페트르슈카를 에워싸고 급히 달려온 경관은 쓰러진 페트르슈카가 인형임을 알고 안심한다. 하지만 군중들이 흩어지고 주인이 페트르슈카를 옮기려할 때 흥행장 지붕 위로 페트르슈카의 영혼이 나타난다. 놀란 인형 조종사는 급히 달아나 버린다. ‘페트르슈카’는 90년이라는 시간적 간극을 뛰어넘어 현대인이 겪는 소외의 비극적 상황을 그리고 있다. 또 표현에 있어서도 발레만의 독자적 영역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흥미를 끈다. 글출처: 웹사이트 / 음원출처: 향기로운 삶의쉼터
'공연후기-클래식(2009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 교향악축제-부천필<스테판재키협연>/4.3.금.8시 (0) | 2009.02.13 |
---|---|
2009 교향악축제-울산시향<백주영협연>/4.8.수 (0) | 2009.02.13 |
2009 교향악축제-제주시향<곽정협연>/4.18.토.8시 (0) | 2009.02.13 |
2009 교향악축제-부산시향<유영욱협연>/2009.4.21.화/예당 (0) | 2009.02.13 |
2009 제1회 서울 난탈리 뮤직 페스티벌/실내악.1/2009.1.29/금호 (0) | 200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