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Rapsodie on Theme by Paganini, Op.43 라흐마니노프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Op.43 Sergei Vasili'evich Rakhmaninov 1873∼1943 |
1943년 7월 3일부터 8월 24일까지 단시일 내에 스위스의 르쩨른 호반의 별장에 틀어박혀서 썼는데, 라흐마니노프의 창작력도 약간 고개를 넘은 무렵이었으며, 오히려 연주가로서의 활동에 바빠 그 이후로는 뛰어난 피아노곡을 한 곡도 완성시키지 못하였다. 이 작품은 변주곡 형식으로 씌어져 있으며, 주제로 사용된 것은 파가니니의 <무반주 카프리스> 작품1의 제24곡 a단조의 곡으로 주제를 24회 변주하고 짧은 서주와 코다가 붙어 있다. 곡은 단순한 변주곡의 범위를 벗어난 복잡하고 기교적인 것으로 피아노의 화려한 명인적인 기예와 색채 풍부한 관현악법을 구사한 매우 꼼꼼한 작품이다. 협주곡 등에서 풍부한 악상을 사용한 작품을 완성한 후, 이와 같은 기법적으로 꼼꼼히 작품을 만들게 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하겠다. 초연은 곡이 완성된 해의 11월 7일 볼티모어에서 라흐마니노프 자신의 연주와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지휘의 필라델피아 관현악단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이 곡은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릿치오 테마를 가지고 변주곡으로 쓰여진 곡으로서, 파가니니의 카프릿치오는 리스트, 브람스 등 다른 작곡가에 의해서도 변주곡으로 다뤄진 곡이다. 라흐마니노프는 이 테마로 오케스트라를 동반한 피아노 음악이라는 이채로운 작품을 창조해냈다. 모두 24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앞서 짧은 서주와 마지막 부분에 코다를 가지고 있다. 라흐마니노프는 다른 작곡가들에 비해서 작품의 수효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지만, 피아노 부문에서만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그 어떤 작곡가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작품은 화려함의 극치를 들려주는 오케스트라 사운드와 피아노의 눈부신 기교와 라프소딕한 터치는 가히 일품이다. 그 자신이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되는 대목이다. 파가니니의 '무반주 카프리스'는 모두 24곡으로 구성된 매우 테크니컬한 작품인데 그 가운데 제24번 a단조를 주제로 삼고 여기에 모두 24곡의 변주곡을 붙인 작품이라흐마니노프의 이 라프소디이다. 1934년 7월 3일에 착수되어 8월 24일에 완성되었고, 같은 해 11월 7일, 미국 발티모어에서 작곡자 자신이 피아노 독주를 하고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가운데 초연 되었다. 이 작품이 특별한 주목을 받는 이유는, 비록 변주곡이라는 형식을 취하긴 했지만 그 틀에 얽메이지않고 자유롭게 작곡자의 감성과 악기의 기교적 측면을 적절하게 조화시켜서 결과적으로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매우 환상적인 것으로 이끌어 갔다는데 있다. 주제는 일반적인 관례를 깨트리고 제1변주 뒤에 선을 보이고 있는 것도 특이한 아이디어로 간주되고 있는데, 24개의 변주 가운데서도 유독 제18변주는 그 짙은 로맨티시즘 때문에 만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Rhapsody on a theme by Paganini Op. 43)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피아노 곡으로, 그의 걸작이라 인정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이 분야에 속하는 작품이다. 그 것은 작곡가인 동시에 유명한 피아니스트였던 라흐마니노프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 곡은 1934년, 7월 3일부터 8월 24일까지의 짧은 시일에, 스위스에서 완성되었다. 이 곡은 변주곡 형식으로 작곡되어 있다. 주제로서 채택된 것은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라 불리던 파가니니의 '무반주 카프리치오 작품 1'의 마지막 곡 a minor의 곡으로, 그것을 스물 네 번 변주하고, 짧은 서주와 코다가 붙어 있다. 곡은 단순한 변주곡의 범위를 벗어난 복잡하고 기교적인 것으로, 피아노의 화려한 솜씨와 교묘한 관현악법을 구사한 상당히 정성들인 작품이다. 변주적 처리에 너무나도 민감한 파가니니의 주제는 다른 작곡가들에게도 작곡의 기초가 된다. 그래서인지 이 곡의 주제에 사용된 파가니니의 곡은 이외에도 리스트와 브람스에 의해서 다루어진 것도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비창>
너무도 유명한 차이코프스키의 대표작이지만 고금의 교향곡 중에서도 걸작이다. 자작의 성가에 대해 그다지 자신이 없던 그도, 이 곡에 있어서는 '나의 일생에서 가장 훌륭한 작품'이라는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1893년 10월 28일 자신의 지휘로 초연한 후 9일 만에 당시 유행하고 있던 콜레라로 돌연 세상을 떠났다. 이 죽음과 『6번』에 넘쳐 흐르는 절망적 비애감과 우울함에는 뭔가 운명적인 부호가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차이코프스키 자신이 그것을 의식하고 있었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비창』이라는 제목은 초연 뒤에 아우인 모데스트와 의논해서 결정된 것으로 모데스트의 제안이었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곡의 내용을 적절하게 표현했던 차이코프스키도 대단히 만족했다고 한다.
|
||
'공연후기-클래식(200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첼리스트 요요 마 & 피아니스트 캐서린 스톳 듀오 리사이틀 (0) | 2008.09.30 |
---|---|
피터 비스펠베이/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 연주회/2008.9.27/예술의 전당 (0) | 2008.09.27 |
다이안 리브스 내한공연/2008.9,25/LG아트센타 (0) | 2008.09.25 |
고전주의 협주곡 시리즈 2/서울시향 정기연주회/2008.9.19/예당 (0) | 2008.09.13 |
신미정&오혜전 피아노 듀오 콘서트 /2008.8.31/금호아트홀 (0) | 2008.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