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후기-클래식(2008년)

피나 바우쉬 무용단/Nefés(네페스:숨)

나베가 2008. 1. 7. 20:44
Home > 공연안내 > 공연안내
피나 바우쉬 무용단
Pina Bausch Tanztheater Wuppertal

Nefés(네페스:숨)

2008.03.13 - 16
삶의 호흡이 불어 넣어주는 희망

* 좌석등급 배치도 보기 <- Click
공연기간 2008.03.13 - 16
평일 8 pm, 주말 4 pm
연출 세트 디자인 및 영상 : 페터 팝스트 (Peter Pabst)
의상 디자인 : 마리온 시토 (Marion Cito)
주최 LG아트센터
음악 마티아스 부커트 (Matthias Burkert), 안드레아스 아이젠슈나이더 (Andreas Eisenschneider)
안무 피나 바우쉬 (Pina Bausch)
출연 독일 피나 바우쉬 부퍼탈 무용단 (Pina Baush Tanztheater Wuppertal)
소요시간 2시간 50분 (중간 휴식 20분 포함)
입장권 VIP석-12만원, R석-10만원, S석-8만원, A석-6만원, B석-4만원
기타 ※ 본 공연은 연출상 물을 사용합니다.
공연안내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는 우리 시대 현대 무용의 전설 피나 바우쉬(Pina Bausch)가 새로운 ‘도시 시리즈’ 작품 를 한국에 선보인다. ‘도시 시리즈’란 1990년대 중반 이후 피나 바우쉬가 특정 국가나 그 국가의 도시를 테마로 하여 발표해 온 일련의 작품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터키를 소재로 한 는 이번에 네 번째로 내한하는 피나 바우쉬 무용단이 포르투갈을 소재로 한 , 한국을 소재로 한 에 이어 세 번째로 소개하는 도시 시리즈 작품이다. 피나 바우쉬가 2002년 여름 무용단과 함께 터키에 체류하며 받았던 영감을 토대로 제작해 이듬해인 2003년에 발표했던 이 작품은 정치적인 갈등과 종교적인 긴장감을 초월하여 터키의 문화와 그 곳의 사람들로부터 받은 친밀하고 편안한 인상들을 반영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두 대륙에 걸쳐져 있는 도시 이스탄불. 이 역사적인 도시를 가르는 보스포러스 해협의 바다, 그 곳에서 불어오는 온화한 바람과 몰아치는 파도, 열기가 피어 오르는 터키식 목욕탕, 그리고 혼잡하지만 활기가 느껴지는 거리의 자동차와 사람들… 마치 흥미로운 기념품들이 가득 담긴 여행 스크랩북을 펼친 것처럼 <네페스>는 단순한 무대 위에 바다, 파도, 폭풍우로 다양하게 변주되는 물의 이미지들을 빚어내며 터키에 대한 잊을 수 없는 기억들을 선사한다. 그 동안 피나 바우쉬 작품 속의 대사와 행위들에 익숙해져 있다면 솔로와 듀엣, 앙상블 등으로 다채로운 춤의 향연을 펼치는 는 보다 새롭고 신비로운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

"터키로부터의 환희" - Time
"혼탁한 이 시대에서 신선한 공기를 숨쉬는 것 같다." - Time
"이스탄불을 순회하는 마법의 양탄자" – The New York Times

 



피나 바우쉬 (Pina Bausch)

1940년 독일 북부의 작은 도시 조링겐에서 태어난 피나 바우쉬는 작은 호텔 겸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는 부모 밑에서 자라났다. 부모의 바쁜 일상으로 어릴 때부터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았던 그녀는 레스토랑 한 구석에서 춤을 추거나 뛰어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그런 그녀를 눈여겨 보던 주변 극장의 관계자들의 권유로 어린이 발레 학교에 입학하게 된 그녀는 놀라운 유연성과 집중성을 보이며 14세의 나이에 독일의 저명한 안무가 쿠르트 요스(Kurt Jooss)가 이끄는 에센의 폴크방 발레학교(Folkwang School)에 들어가게 된다. 독일 표현주의 무용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요스 밑에서 음악, 연기, 마임, 댄스 뿐 아니라 회화, 조소, 디자인, 사진 등 다양한 예술적 훈련을 받을 수 있었던 그녀는 그의 가장 촉망받는 제자로 성장해 1958년 폴크방 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다. 졸업과 동시에 독일 학술교환 서비스(DAAD)의 지원을 받아 미국 줄리어드 스쿨에 특별 장학생으로 진학하게 된 그녀는 뉴욕에서 폴 사나사르도(Paul Sanasardo), 도나 푸어(Dona Feuer), 아메리칸 발레단의 폴 테일러(Paul Taylor)와 함께 작업하거나 안토니 튜더(Antony Tudor)가 예술감독으로 있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무용수로 활동하면서 유럽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또 다른 무용세계를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1962년 독일로 돌아온 피나 바우쉬는 쿠르트 요스가 창단한 폴크방 발레단에서 주역 무용수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기 시작하였다. 1968년에 벨라 바르톡(Bela Bartok)의 곡에 붙인 작품 를 통해 안무를 시작한 그녀는, 1969년 <시간의 바람 속으로 Im Wind der Zeit>가 쾰른 콩쿨에서 1위를 차지하며 안무가로서 성공적인 출발을 한다. 그 후 폴크방 발레의 예술감독겸 안무가로서 활동했던 그녀는 1973년 부퍼탈 시립극장 발레단의 예술감독 및 안무가로 취임, 무용단의 이름을 ‘부퍼탈 탄츠테아터’로 개명하면서 이후 세계 무용계에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오게 된다.

‘실존하는 인간의 문제’들을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정서로 다루던 독일 표현주의 무용의 계승자답게 피나 바우쉬의 작품 테마는 언제나 인간이다. 그녀는 특히 인간들 사이의 ‘소통’을 중시하며 인간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그 무엇에 주목한다. 사랑과 욕망, 불안과 공포, 상실과 고독, 슬픔과 고뇌, 폭력과 파괴 등과 같이 인간의 실존에 관한 심오한 주제들은 고정된 체계가 없는 자유로운 형식에 담겨진다. 그렇기에 그녀와 그녀의 예술을 이해하는 데에는 별다른 준비가 필요치 않다. 그녀의 작품에는 지속적인 플롯이나 특정한 캐릭터, 일관된 의미가 없다. 어떤 상황이나 소품, 의상을 중심으로 간단한 대화와 행동의 에피소드, 그리고 사운드와 이미지가 변화무쌍하게 조합된 그녀의 작품은 그 자체를 즉각 감성과 영혼 앞에 드러낸다. 이러한 그녀의 표현법이 처음부터 모든 관객들의 지지를 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 전까지 보아왔던 아름답고, 정형화된 무용과는 전혀 다른 그녀의 작품에 그녀의 본거지인 부퍼탈의 관객들마저 야유를 보내거나 공연 중에 문을 박차고 나가기도 했었다. 그러나 수잔 손탁(Susan Sontag)이나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피터 브룩(Peter Brook)과 같은 당대 유명 예술인들을 비롯하여 곧 많은 사람들이 기존의 형식을 거부하고 자유롭고 강한 어휘로 인간의 내면을 표출해내는 그녀의 예술에 매료되면서 그녀는 금세기 현대무용의 신화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무용과 연극이라는 장르의 벽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국경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활기차게 활동하고 있는 피나 바우쉬는 일흔이 가까운 나이에도 매일 오전10시에 무용단으로 출근해 밤 늦게까지 단원들과 함께 리허설을 하고, 새벽까지도 집이나 작업실에서 작품 구상에 몰두하며 무용 이외의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을 만큼 강도 높은 생활을 계속 하고 있다. ‘나는 어떻게 움직이느냐가 아니라 무엇이 움직이게 만드느냐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는 피나 바우쉬. 그녀의 굳건한 예술적 신념과 뜨거운 열정은 시대와 국경을 초월하여 많은 예술가와 관객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이끌어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