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라빈스키는 1882년 7월 17일
상트페테스부르크(옛날의 레닌그라드) 부근에 위치한 오라니엔바움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페테스부르크 궁정 오페라단의
베이스 가수 이었으며, 스트라빈스키가 음악의 길로 들어서는데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었습니다.
스트라빈스키는 그의 나이 9살 때 정식으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도 스네트코프 (Snetkow) 여선생에게 배웠다는 기록은 있지만, 그에게 제대로 된 피아노 교육을 시킨 사람은 안톤
루빈슈타인(Anton Rubinst-ein, 1830-1894)의 제자인 카쉬페로바(Kaschperowa)부인이었습니다. 이
카쉬페로바부인은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적 재능을 가장 정확히 알아보고, 그를 끝까지 지도하였으며, 특히 그녀의 교수법 중에서 페달을 사용하지 않는
연주 기법은 스트라빈스키의 피아노 음악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스트라빈스키의 모든 피아노 곡의 악보를 보면 어느 곳에도 페달의
사용이 표시되지 않고 있으며, 페달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피아노 음색을 통하여 그는 자신만의 새롭고, 독특한 음악어법을 창출해 내었습니다.
스트라빈스키는 그 외에도 아키멘코(Fjodor St. Akimenko, 1876-1945)에게 화성학을, 칼라파티(Wassilij P.
Kalafaty, 1869-1942)에게 대위법을 배웠습니다. 스트라빈스키는 그의 회고록에서 어린 시절의 피아노 학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나는 악보 보는
법을 매우 빠르게 배웠고, 곧 즉흥연주 하는 것에 대하여 깊이 빠져들었습니다. 나는 피아노를 칠 때 주로 즉흥연주를 하였고, 이것은 오랫동안
나의 가장 좋아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 이러한 즉흥연주 의 지속적인 작업은 나에게 있어서 피아노 연주의 테크닉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나의 음악적인 사상을 성숙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작곡하는 과정에서 단지 상상 속의 소리만으로 작업에
임하 기보다는 직접 소리나는 악기를 가지고 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그는 이미 어릴 때부터
피아노에 대한 신뢰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를 통하여 자신의 독특한 기법을 익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902년 스트라빈스키는
림스키-코르사코프(Nikolaj Andrejewitsch Rimskij-Korsakow, 1844-1908)를 만나게 되는데, 이 두 사람의
관계는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죽을 때까지 돈독하게 지속되었습니다.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배운 약 4년간의 시간은 스트라빈스키에 있어서 매우
값진 시간이었으며, 특히 이전에 특별히 작곡을 배운 적이 없는 그로서는 작곡기법을 정확하고 충분히 배울 수 있는 기간이 되었습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스트라빈스키에게 작곡을 가르치며, 지속성과 자기성찰을 발전시키고, 창작이전에 우선 작곡자로서의 책임과
예술에 대한 책임감을 일깨워 주려고 하였습니다. 스트라빈스키는 하버드 대학에서 행한 강연에서 그의 예술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예술이란 배워서 얻던가 또는 스스로 발견한 특별한 방법에 따라 작품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들은 우리가 행하는 작업의 정당성을 입증하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스트라빈스키는 자신의 예술관을 정립한 것 같습니다.
러시아의 음악학자인 드러스킨(Michail Druskin)이 추측하기에 이 시기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생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었으며, 스트라빈스키는 합리적인 사고의 인상으로부터와 더 나아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일상생활로 부터에서도 스스로 누누이 언급했던
자신의 음악에서의 질서의 개념을 이끌어 내었습니다. 그는 림스키-코르사코프 이외에도 다른 러시아의 음악가들, 예를 들면 무소르그스키(Modest Petrowitsch
Mussorgskij, 1839-1881)나 차이코프스키(Peter Iljitsch
Tschaikowsky, 1840-1893) 등에게서도 역시 작지 않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프랑스의 예술과의 만남도
그의 음악적 발전에서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많은
문헌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당시 러시아에서는 프랑스의 예술이 큰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스트라빈스키는 하나의 문학집단이던 프랑스의 발몽그룹을
알게 되었으며, 발몽그룹 이외에도 그는 프랑스의 현대예술, 특히 문학과 음악에 큰 관심을 가지고 그의 예술의 정신적 기반으로 삼아 갔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스트라빈스키가 당시의 프랑스의 현대음악, 특히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로부터도 큰 영향을 받았으리라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드러스킨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실제로 스트라빈스키는 드뷔시의 음악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트라빈스키는 그의 회고록에서 비록 그가 드뷔시의 인간성이나 음악적인 재능의 위대함은 인정하지만 자신의 음악에서의 드뷔시의 영향은
부정하고 있습니다. 1909년 2월 6일 스트라빈스키는 당당하게 자신의 작품으로 작곡자겸 피아니스트로서 성공적으로 데뷔하였습니다.
성 페테스부르크에서 개최된 이 연주회에서는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하고, 자신이 직접 연주한 4개의 피아노 연습곡(Vier
Klavier-Etuden op. 7)과 두 곡의 관현악을 위한 스케르쪼인 '환상적 스케르쪼(Scherzo fantasique op. 3)'와
'불꽃놀이(Feu d'Artifice op. 4)'가 연주되었습니다. 특히 '환상적 스케르쪼'와 '불꽃놀이'에 커다란 감명을 받은
발레연출가 디아길레프(Serge Diaghilew, 1872-1929)는 그 이후 스트라빈스키에게 발레음악을 위촉하여 1910년에
'불새(L'oiseau de feu)'를 1911년은 '페트루슈카(Petruschka)' 그리고 1913년에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을 파리에서 선 보였습니다. 1914년 그의 첫 번째 오페라인 '나이팅게일(Le Rossignol)'을 파리에서 발표한 후
1920년까지 스트라빈스키는 스위스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 동안 지휘자로서도 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그는 다시 프랑스로 거주지를 옮겼으며, 1934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였습니다. 1935년에 그는 회고록을
집필했고, 그의 부인과 어머니가 잇달아 세상을 떠난 1939년에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연을 하였습니다. 1940년에 스트라빈스키는
베라 드 보셋(Vera de Bosset)과 재혼을 했다. 1945년 미국 국적을 취득하고, "난봉꾼의 행각 "(The Rake's
Progress)의 작곡 했으며, 1953년에 그는 "7중주"를 작곡하며, 12음 기법에 의한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이후
스트라빈스키는 주로 자신의 작품들을 지휘하거나 녹음작업을 하면서 여생을 보냈으며, 그는 1971년 4월 6일 뉴욕에서 운명하였지만 그의
[퐁퓌드 광장의 스트라빈스키 분수] 유언에 따라 4월 15일 이탈리아의 베니스에 있는 상 미첼 섬의
공동묘지에 묻히게 되었습니다.
|
|
음악 : 불새 연작 1991(이고르 스트라빈스키) 감독 : 괴탄 브릿지,
폴 브릿지 미술 : 칼 존스 '환타지아 2000'의 마지막 시퀀스는 흔히 '최후의 피날레'로 지칭되는 작품
'불새' 입니다. 죽음과 부활을 테마로 한 이 시퀀스에서는 자연이 요정의 형태로 의인화되어 등장합니다. 봄의 소생을 노래하는 요정과 숲
속의 제왕인 엘크사슴. 활화산 속에 살고 있는 불새의 분노로 봄의 아름다움은 불타버리고, 과연 엘크와 요정은 잿더미로 변해버린 죽은 숲
속에 다시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인가? 마지막 시퀀스인 부활의 피날레에서는 요정, 엘크, 불새라는 자연을 대표하는 세 가지 상징적
존재가 중심 캐릭터로 등장합니다. 봄을 상징하는 요정은 매년 찾아와 자연을 소생시키고, 초록의 담요와 갖가지 화려한 색채로 지상을
장식합니다. '엘크'는 항상 요정과 소생의 계절을 함께 공생하는 파트너이고, 세 번째 캐릭터인 불새는 새의 형상을 한 용암으로서, 이 불새는
닥치는 대로 모든 걸 태워버리는 분노의 화신입니다. 그러나 마지막 부분에 엘크가 요정을 부활시키면서 숲의 생명은 다시 소생됩니다. 여기서 요정은 자주 실수를
저지르지만 그 실수를 통해 거듭나고 성숙해지 는 인간을 상징하고, 이 마지막 시퀀스에서 전하는 부활의 메시지는 바로 밀레니엄을 맞은
우리들에게 자연에 대한 신뢰와 희망을 던져줍니다.
주요 작품
기악곡
관현악곡 : "교향곡 E♭장조", "환상적 스케르쪼", "불꽃", "장송의 노래 (림스키 코르사코프를 기념하여)",
"래그타임
(11개의 악기를 위한)", "관악기를 위한 심포니", "불새 (발레음악에서 발췌한 모음곡)",
"모음곡
제1번 (피아노 연탄을 위한 5개의 쉬운 소품을 소오케스트라용으로 편곡한 것)".
"모음곡
제2번 (피아노 연탄을 위한 3개의 쉬운 소품과 5개의 쉬운 소품을 소오케스트라용으로
편곡한
것)", "풀치넬라 (발레에서의 모음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4개의 에튀드 ",
"디베르티멘토
(요정의 입맞춤에서 발췌)", "카드 놀이 (발레곡에서 발췌)", "프렐루디움 (재즈 오
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E♭조 (덤바턴 오크스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C조",
"댄스
협주곡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서커스 폴카 (관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오케스트라
를
위한)", "4개의 노르웨이의 정서", "오드 (3부 구성의 애가)", "발레의 정경", "러시아풍 스케르
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재즈 밴드를 위한)", "3악장의 심포니", "교향적 모음곡 (불새의 신판)",
"에보니
협주곡", "협주곡 D조", "탱고 '피아노곡의 오케스트라 편곡'", "그리팅 프렐류드",
"변주곡
(A. 헉슬리를 추도하기 위한)"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협주곡", "카프리치오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D조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무브먼트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피아노곡 : "피아노 소나타 (분실)", "4개의 에튀드", "피아노 래그 뮤직", "5개의 손가락 (5개의 음표에 의한 8
개의
쉬운 소품", "페트루슈카의 3개의 악장 (2대의 피아노를 위한 것도 있다)", "세레나데 A조",
"탱고
(1대 또는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서커스 폴카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쉬운 소품 (연탄
곡)",
"5개의 쉬운 소품", "러시아풍 스케르쪼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편곡)",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피아노를 위한 에튀드 (마드리드)"
그 밖의 기악곡 : "현악4중주를 위한 3개의 소품", "클라리넷 독주를 위한 3개의 소품", "콘체르티노 (현악4중
주를
위한, 12개의 악기를 위한)", "관악8중주곡", "협주적 2중주곡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불새의
자장가를 위한 바이올린과 피아노용 편곡", "불새의 스케르쪼를 위한 바이올린과 피아
노용
편곡", "3개의 노래에서 취한 목가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및 바이올린과 4개의
관악기를
위한 편곡", "이탈리아 모음곡 (풀치넬라의 악장 중 첼로와 피아노, 바이올린과 피아
노를
위한 편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디베르티멘토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페트루슈카의
러시아 댄스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마브라의 (파라차)의 노래를 위
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밤꾀꼬리의 단편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
"엘레지
(무반주 비올라 또는 바이올린을 위한)", "7중주곡 (호른, 바순, 클라리넷,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를 위한)", "묘비명 (플루트, 클라리넷, 하프를 위한)", "2중 카논 (라울 뒤퓌
를
추도하는 현악 4중주곡)", "팡파레 (2개의 트럼펫을 위한)",
극장음악
발레음악 : "불새 L'Oiseau de feu", "페트루슈카", "봄의 제전", "밤꾀꼬리 노래", "휘파람새에 기초한 발레음
악)",
"여우", "풀치넬라", "결혼", "뮤즈의 신을 거느리는 아폴론", "요정의 입맞춤", "카드 놀이",
"발레의
정경", "협주적 댄스", "오르페우스", "아곤",
오페라 또는 무대작품 : "밤꾀꼬리 (안데르센에 기초한 서정 이야기)", "병사의 이야기", "나레이터와 7개의
악기를
위한, 대본 라뮈", "마브라", "오이디푸스 왕 (오페라 오라토리오 대본)", "페르세포네",
"난봉꾼의
행각", "홍수",
성악곡
피아노 반주 딸린 가곡 : "목신과 양치기", "고로데츠키에 의한 2개의 가곡", "파스토랄", "베를렌느에 의한 2
개의
가곡", "발몬트에 의한 2개의 시", "3개의 작은 가곡 : 나의 어린시절의 추억", "3개의 일본
서 정시",
"어린이를 위한 3개의 이야기", "4개의 러시아의 노래", "부엉이와 새끼 고양이",
기악 또는 오케스트라 반주가 딸린 가곡 : "프리바우트키 (중성과 8개의 악기를 위한)", "고양이의 자장가 (중
성과
3개의 클라리넷을 위한)", "셰익스피어의 3개의 가곡 (메조 소프라노, 플루트, 클라리넷, 비
올라를
위한)", "딜런 토머스를 추도하며 (테너, 트롬본 4, 현악4중주를 위한)", "4개의 러시아 노
래
(플루트, 하프, 기타를 위한)", "바흐의 크리스마스 성가 (나는 높은 하늘에서 왔도다)에 의한
코랄변주곡",
"앤덤 (비둘기는 공기를 가르며 내려온다)", "아브라함과 이삭", "J. F. K.를 위한 비
가",
악기 또는 오케스트라 반주가 딸린 합창곡 : "별의 왕", "시편 교향곡", "바벨", "미사 (혼성합창과 2조의 관악
5중주를
위한)", "칸타타 (소프라노, 테너, 여성 합창, 소기악 앙상블을 위한)", "칸티쿰 사크룸"
"트레니:예언자
예레미아애가 (독창,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설교, 설화, 기도",
"인트로이투스
(T. S. 엘리어트를 추도, 합창과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레퀴엠 칸티클스",
무반주 합창곡 : "4개의 농민의 노래", "파테르 노스테르", "크레도", "아베 마리아", "앤덤 (비둘기는 공기를 가
르며
내려온다)",
편곡 : "장난꾸러기 (원곡 그리그, 발레음악 동양의 여인들을 위한 오케스트라 편곡)", "녹턴 A♭조와 화려한
대왈츠 E♭조
(원곡 쇼팽, 발레 실피드를 위한 오케스트라 편곡)", "메피스토펠레스의 벼룩의 노래
(원곡 베토벤
op. 753, 오케스트라 편곡)", "호반시치나 원곡 무소르크스키, 발췌와 피날레를 디아길
레프의 의뢰로
개작)", "볼가 강의 뱃노래 (취주악단을 위한 편곡)", "차이코프스키의 발레음악 잠자는
숲속의 미녀의
파랑새 (소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 "성조기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 매사추세츠
주 경찰에
의하여 압수됨)", "크리스마스 성가 나는 저 높은 하늘에서 왔도다에 의한 코랄 변주곡 (원
곡 J. S.
바흐, 오르간곡을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것으로 편곡)", "우리를 비추어 주소서 (원곡 제
수알도, 7성의
사크라 칸티오의 보완)", "주여 평안을 주소서 , 성모의 승천 (원곡 제수알도, 2개의 6성
사크레
칸초네스의 보완)", "베노사의 제수알도 탄생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악기를 위하여
재구성된 3개의
마드리갈)
저서 : "내 생애의 연대기", "음악의 시학(詩學)", "스트라빈스키와의 대화 (로버트 크래프트와의 공저)"
"회상과
주석 (로버트 크래프트와의 공저)", "제시와 전개 (로버트 크래프트와의 공저)",
"대화의
일기 (로버트 클래프트와의 공저)", "테마와 에피소드 (로버트 클래프트와의 공저)",
"회고와
결론 (로버트 클래프트와의 공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