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음악관련(음악가, 음악백과...)

베토벤은 납중독으로 사망했다.

나베가 2006. 7. 2. 11:05
베토벤은 납중독으로 사망했다.



 오후 4시 쯤, 창밖에는 진눈깨비가 내리고 있었다. 천둥소리와 함께 번개가 치자 어두컴컴했던 실내가 갑자기 밝아졌다. 죽어가던 그의 얼굴이 번쩍 들리며 주먹을 쥔 오른 손이 장엄하게 하늘을 향했다. 마치 군대를 지휘하는 장군처럼 뻗었던 그 팔은 곧 바닥으로 떨어졌고 그는 영영 눈을 감았다?.’

1827년 3월 26일, 56세의 베토벤은 이렇게 세상을 떠났다. 이 위대한 음악가는 20대 초반부터 복통에 시달렸고, 31세에 청각장애가 나타나 42세 때에 청력을 완전히 잃었다. 오랜 투병 과정에서 친절하고 매력적이었던 젊은이는 신경질적으로 변했으며, 만년에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우울한 인물이 되어 있었다. 생애의 마지막 해인 1827년 초, 베토벤은 폐렴을 앓았고 그 얼마 후에는 복통이 심해지면서 복수가 차 올랐다. 의사들이 간과 콩팥 등에서 다량의 체액을 뽑아냈지만 차도가 없었다.

그의 직접사인은 간경화증에 의한 간부전(肝不全)이었다. 전기 작가들이 묘사한 감동적인 장면 즉, 임종을 맞은 베토벤이 하늘을 향해 주먹을 흔드는 장면은 베토벤이 간성 혼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간이 나빠져서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에게 갑작스런 (강한 빛과 같은) 자극을 주면 이런 경련성 반응이 유발된다. 베토벤의 간경화는 빈 의과대학 요한 바그너와 카를 로키탄스키의 부검을 통해 확인되었다.

현대의 의사들은 생전의 병력과 부검소견을 근거로 베토벤이 ‘전신성홍반성결절’이라는 면역질환을 앓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젊어서 발병하는 이 병은 복통을 비롯한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만성간염과 간경화증이 나타날 수 있다. 청각장애도 청신경으로 가는 동맥에 염증을 동반할 수 있는 이 병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베토벤협회가 소장하고 있던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분석한 결과 정상인의 100배에 이르는 납이 검출되었다. 또 빈 의과대학의 로메오 셀리그만이 떼어 보관했던 베토벤의 머리뼈 조각에서도 다량의 납이 검출되었다.

이로써 생전의 베토벤을 가장 오래 괴롭혔던 복통이 납중독에 의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가 때때로 어린 아이처럼 신경질을 내고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우울증에 시달렸던 것도 납중독에 따른 신경계의 손상 때문이라는 설명이 가능해 졌다. 연구자들은 아마도 당시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던 다뉴브 강에서 잡힌 물고기나, 애주가였던 그가 수십 년간 마셨던 와인에 납이 들어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울산의대 인문사회의학과 교수

'기타 > 음악관련(음악가, 음악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0) 2006.07.15
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  (0) 2006.07.15
메트로폴리탄의 화려함  (0) 2006.06.09
토스카니니  (0) 2006.06.09
미켈란젤리/피아니스트  (0) 200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