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커크비와 런던 바로크 "셰익스피어 인 러브"
“ 눈부신 목소리, 뛰어난 기교, 명민한 해석”
- 그라모폰
수정같이 투명하고 맑은 음색으로 고음악계에서 높이 추앙받고 있는 소프라노 엠마 커크비(Dame Emma Kirkby)가 오는 4월 자신의 오랜 파트너인 런던 바로크(London Baroque)와 함께 찾아온다. 특히 이번 연주는 자신의 60세 생일을 기념하여 마련된 것으로 “셰익스피어 인 러브(Shakespeare in Love)”라는 부제를 가지고 16-17세기 영국 음악 속에 살아있는 셰익스피어 문학의 흔적을 찾는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영국의 유력 음악 전문지인 BBC뮤직 매거진이 ‘역사상 최고의 소프라노 20명’ 가운데 한 명으로 꼽은 엠마 커크비는 정규 음악 교육을 받은 바 없이 옥스포드에서 고전학을 전 공하다 24세가 되어서야 음악을 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커크비는 누구보다도 꾸밈없이 청순하고 순수한 음색과 함께 가사가 주는 의미를 뛰어나게 살리는 정교한 표현력으로 명성을 쌓았으며, 특히 영국 르네상스 시대 성악곡의 독보적인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엠마 커크비는 이번 내한공연에서 런던 바로크와 함께 셰익스피어 당대 또는 후대에 그의 희곡에서 영감을 받은 노래를 부른다.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가 상연될 때(1611년) 삽입되었던 로버트 존슨의 곡을 포함하여, <한여름 밤의 꿈> 초연 후 한 세기가 지난 후에 각색된 헨리 퍼셀의 세미 오페라 <요정여왕> 중 아리아, 토마스 안의 “4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등 고전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진 고풍스런 정취를 엠마 커크비의 천상의 목소리로 만끽할 수 있는 보기 드문 경험이 될 것이다.
[프로그램]
"셰익스피어 인 러브"
존 젠킨스(1592-1678) Fancy and Ayre, g단조
로보트 존슨(1583-1633) 다섯 길 물 아래 그대 아버지가 누워있네
(Full fathom five) *템페스트
벌이 꿀을 빠는 곳
(Where the bee sucks) *템페스트
헨리 로스(1596-1662) 아, 저 입술을 치워주오
(Take O take those lipw away) *소네트
헨리 퍼셀(1658-1695) 4성 소나타 중 제9번 F장조
<요정여왕> 중 모음곡 *한여름밤의 꿈
보라, 밤의 여신마저 여기 왔도다
(See, even night herself is here)
만일 사랑이 달콤한 정열이라면
(If love's a sweet passion)
애가 - 오, 울게 내버려 두오
(The Paint - O let me weep)
내가 아가씨들의 불평을 들을 때마다
(When I have often heard)
==Intermission==
헨리 퍼셀(1658-1695) 음악이 사랑의 양식이라면
(If music be the food) *십이야
잠시 동안의 음악
(Music for a while)
마랭 마레(1656-1728) 생 콜롱브를 위한 무덤 / La Guitare
조직 프레데릭 헨델(1685-1759) 소나타 D장조 Op.5 No.2, HWV397
토마스 안(1710-1778) <4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오라, 죽음이여
(Come away death) *십이야
더 이상 두려워하지 말라
(Fear no more) *심벌린
말해다오, 슬픔은 어디서 자라나는가
(Tell me, where is fancy bred) *베니스의 상인
아리엘의 노래
(Ariel's song) *템페스트
앵콜곡....
1. 헨델 종교 칸타타 O Qualis de Coelo Sonus HWV.239 중 Alleluja
2. 헨델 솔로 칸타타 Notte Placida e Cheta, HWV.142 중 아리아 Per un istante
3. 퍼셀 <요정여왕> 중 When I have often heard
엠마 커크비(Emma Kirkby)*
*공식 홈페이지:http://www.emmakirkby.com/
엠마 커크비(1949~)는 처음부터 전문 성악가가 될 생각은 없었다. 옥스포드에서 고전학을 전공하면서 취미로 합창단과 소규모 그룹에서 노래했는데 특히 르네상스와 바로크 레퍼토리에 가장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1971년 테버너 콰이어에서 노래하였고 1973년 콘소트 오브 무지케와 오랜 관계를 시작하게 되었다. 엠마는 초반 콘소트 오브 무지케 및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데카의 플로릴레기움 녹음에 참여하였는데, 당시는 대부분의 전문 소프라노들이 고악기에 어울리는 소리를 추구하던 때가 아니었다. 때문에 커크비는 자신만의 길을 찾아야 했고, 런던의 제시카 캐시의 헌신적인 조력과 자신과 오랫동안 함께 일해온 음악감독들, 동료 성악가들, 기악 연주자들의 도움이 큰 힘이 되었다.
커크비는 특히 런던 바로크,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린츠의 오르페오, 계몽시대 오케스트라 및 팔라디안 앙상블, 플로릴레기움과 같은 오늘날 젊은 그룹과 오랫동안 연주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커크비는 100개가 넘는 다양한 종류의 음반을 녹음했는데, 레퍼토리는 빙엔의 힐데가르데의 sequences로부터 이탈리아, 영국 르네상스의 마드리갈, 바로크 시대의 칸타타와 오라토리오, 모차르트, 하이든, J.C.바흐의 작품들에 이른다. 최근의 레코딩으로는 Handel: Opera Arias and Overtures 2(하이페리온), 바흐의 결혼 칸타타(데카), 바흐의 칸타타 82a와 199(카루스), 그리고 BIS 레이블의 프로젝트 등이 있다. 런던 바로크와 함께 헨델의 모테트와 스카를라티, 바흐 등의 크리스마스 음악을 녹음했으며, 로열 아카데미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함께 새로이 발견된 헨델의 글로리아를 최초로 녹음했다. 그리고 Romantic Chamber Group of London과 함께 미국의 여류 작곡가로 1944년에 사망한 에이미 비치(Amy Beach)의 음악으로 구성된
이외에도 그녀는 안소니 룰리와 기획하고 연주한 <클래시컬 커크비(Classical Kirkby)>(BIS, 2002), 카탈도 프렛 워크와 연주한 아모데이의 칸타타(BIS, 2004), 윌리엄 버드의 콘소트 노래(아모니아 문디USA, 2005), 다니엘 테일러와 연주한 스카를라티의 스타바트 마테르(ATMA, 2006), 존 다우랜드의 노래로 구성된 Honey from the Hive(BIS, 2006),를 녹음했으며, 그리고 류트 연주자 야콥 린드베리와 함께 Musique and Sweet Poetrie를 발매했다.
1999년 커크비는 영국 클래식 FM라디오 청취자들이 뽑은 “올해의 아티스트”가 되었으며, 2000년11월 OBE(Order of British Empire)를 수여 받았고 2007년6월 영국 여왕의 생일을 기념하여 왕실에 의해 Dame(데임)의 칭호를 받아 영예의 리스트에 그 이름을 올렸다. 또한, 2007년4월 BBC뮤직 매거진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프라노 20명”을 설문하였는데 커크비는 이 중 10위에 올랐다.
활발한 레코딩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커크비는 라이브 연주를 더욱 선호하며 그 중에서도 동료들과 친근한 프로그램을 연주하는 즐거움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고 말한다. 그녀는 연주마다, 공연장마다, 그리고 어떤 관객들에게나 황홀한 레퍼토리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하는데 독특한 기운을 불어 넣는다.
*런던 바로크(London Baroque)*
잉그리트 자이페어트(Ingrid Seifert) / 바이올린
리처드 귈트(Richard Gwilt) / 바이올린
찰스 메들램(Charles Medlam) / 베이스 비올
스티븐 디바인(Steven Devine) / 하프시코드
“이 연주자들의 높은 수준에 탄복한다. 개개의 파트가 빚어내는 프레이징과 다이내믹의 끊임없는 변화, 상상력 넘치는 해석으로 완벽하게 구현해내는 아고긱의 디테일은 놀라울 정도로 생생한 음악을 들려준다.(2002)”
“… 이들의 연주는 매순간 듣는 이의 귀를 즐거움으로 가득 차게 만들고, 또한 완벽하게 조율되어 있다. 최상의 비르투오조와 깊은 감성의 경지에 다다른 유연한 연주이다.” (파이낸셜 타임즈, 1980)
1978년에 창단된 런던 바로크는 가장 오랜 경력의 바로크 체임버 앙상블의 하나이자 바로크 실내악을 가장 뛰어나게 연주하는 단체 중 하나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으며 30년 전이나 오늘날이나 관객들로부터 커다란 사랑과 존경을 받고 있다. 런던 바로크는 연간 50회 이상의 연주를 하면서 앙상블은 오래된 현악사중주단과 유사한 응집력과 프로페셔널리즘을 자랑하게 되었다. 앙상블의 레퍼토리는 16세기말에서 모차르트, 하이든 시대의 음악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바로크 및 초기 고전주의 시대의 널리 알려진 음악은 물론 거의 알려지지 작곡가의 곡까지 망라한다.
런던 바로크는 관객들이 기대하는 완벽한 기교와 원숙한 음악성을 갖춘 생기 넘치는 연주를 하고 있다. 이들은 유럽의 주요 음악 페스티벌에서 연주했으며, 전세계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에 빈번히 출연하고 있다. 런던 바로크는 잘츠부르크, 바스, 인스부르크, 위트레흐트, 요크, 안스바흐, 슈투트가르트 바흐 페스티벌의 정기적으로 초대받고 있다. 또한 영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스웨덴, 폴란드, 에스토니아, 일본의 TV에 출연한 바 있다.
2007/08시즌 동안 런던 바로크는 초기 영국 음악으로부터 모차르트와 당대의 음악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4명의 핵심 멤버는 영국,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미국을 투어했으며, 엠마 커크비와 함께 영국, 독일, 스웨덴, 이탈리아, 스페인, 터키에서 연주했다. 또한, 에든버러, 잘츠부르크, 바스, 비엥, 인스부르크, 위트레히트, 요크, 안스바흐 페스티벌에서 연주한 바 있다.
코렐리, 헨델, 로즈, 퍼셀, 르끌레르, CPE 바흐의 트리오 전곡과 WF 바흐의 하프시코드 협주곡, 파헬벨의 현악곡을 포함하여 15년 이상 프랑스 아르모니아 문디에서 녹음 활동을 해온 런던 바로크는 현재 BIS에서 음반을 발매하며 평단의 호평을 끌어내고 있다. 이들은 비발디의 트리오 Opus1, 크리스마스 음악, 헨델의 모테트(엠마 커크비 협연, “시적인 표현이 깃든 민첩하고 따뜻한 연주… 이들의 연주는 내게 모범답안과 같다.” (2001년9월 그라모폰)), 퍼셀의 판타지아, 바흐의 트리오 소나타, 라모의 클라브생 모음곡, 쿠프랭의 Apotheoses, 단 로랭과 네오폴리탄 리코더 협주곡 음반을 발매했다. 또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의 트리오 소나타 음반을 준비 중이다.
Laudate Dominum(주님을 찬미하라)
엠마 커크비의 노래
'공연후기-클래식(2009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카치 콰르텟 & 손열음/2009.6.18/LG아트 (0) | 2009.02.05 |
---|---|
레이디스미스 블랙 맘바조/2009.6.17/LG아트 (0) | 2009.02.05 |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 알렉산더 리브라이히 지휘/2009.3.31/LG아 (0) | 2009.02.05 |
보리스 에이프만 발레단 <안나 카레니나>/2009.3.29/LG아트 (0) | 2009.02.05 |
에스토니아 필하모닉 체임버 콰이어/2009.3.1.7시/LG아트 (0) | 200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