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와 첼로의 위대한 두 거장, 이들이 빚어낼 ‘신의 영역에 가까운’ 연주
안드라스 쉬프와 미클로스 페레니의
슈퍼 듀오 콘서트
Super Duo Concert with
András Schiff and Miklós Perényi
위대한 거장들의 명연
최초 내한을 하는 이 시대의 피아노 거장 안드라스 쉬프와 명실상부하게 ‘살아있는 세계의 첼로 명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히는 미클로스 페레니가 꿈의 듀오 무대를 갖습니다.
2008년 2월 22일(금)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우리는 이 슈퍼 듀오의 꿈같은 무대를 만나게 됩니다.
한 사람은 헝가리에서 성자처럼 추앙받는 첼리스트로, 다른 한 사람은 영국 피아니스트로 각자 다른 길을 걸어왔지만, 이들은 헝가리인의 핏줄을 공유하고 있다는 공통분모로 인해 근래에 첼로와 피아노의 조합에서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드림팀을 이루었습니다. 텔덱과 ECM 레이블에서 슈베르트와 베토벤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작품들을 녹음하고, 런던 위그모어 홀에서 대성황을 거둔 듀오 연주회 등을 통해 쉬프와 페레니 두 사람은 첼로 & 피아노 듀오 분야의 역사를 새롭게 써나가고 있습니다.
이미 음반 녹음을 통해 ‘거장들의 명연’으로 정평이 난 이들의 베토벤 첼로 소나타 연주를 이제 우리는 눈앞에서 직접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카잘스가 발탁했던 헝가리 첼로의 성자, 미클로스 페레니
많은 첼로 연주자와 팬들로부터 추앙받고 있는 위대한 첼리스트 미클로스 페레니는 15세의 어린 나이에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파블로 카잘스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당시 80세였던 거장 카잘스의 눈에 띄어 국제 음악계에서 커리어를 쌓기 시작한 경력의 소유자입니다.
전문 첼리스트들 사이에 ‘완벽 보잉’으로 소문난 페레니의 활 놀림은 활과 현이 만나는 접점에서의 대단한 컨트롤 능력 등이 언제나 경탄의 대상이 되어왔고, 고음에서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섬세한 소리결을, 그리고 저음에서는 향기롭고 일절 탁해지지 않는 사운드를 창조해냈습니다. 화려한 현대의 첼로 소리와는 조금 구분되는 차분하고 ‘중독성 있는’ 음색, 이른바 ‘페레니의 소리’로 불리는 첼로 사운드가 이렇게 해서 탄생했습니다. 더 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음색을 자랑하는 그는 여기에 덧붙여 악곡을 완벽하게 컨트롤하는 능력, 온화하게 모든 것을 말하는 표현력, 그리고 현대적인 날카로운 센스 등을 모두 갖춘 진정한 의미의 거장이라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페레니는 같은 부다페스트 출신의 피아니스트 발라쥬 소콜라이의 피아노 반주로 이미 내한 연주회를 가진 바 있고, 세계 최대 규모의 첼로 페스티벌인 ‘크론베르크 아카데미 인 서울’을 통해 마스터클래스와 연주회로 한국 팬들을 만났습니다. 음악에서의 탁월함 외에도, 온화하고 따뜻한 인품으로 연주장을 찾은 청중들과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한 음악도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준 바 있습니다.
미클로스 페레니는 데즈 랑키와 함께 1979년에 헝가로톤 레이블에서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을 녹음한 일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명연주, 명반으로 찬사를 받았던 이 레코딩 이후, 그는 23년만인 지난 2002년에 이 소나타 전곡을 다시 녹음합니다. ECM 레이블에서 피아노 거장 안드라스 쉬프와 함께 한 이 전곡 녹음은 20여 년의 시간차를 둔 음향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무르익고 원숙해진 페레니의 음악 세계, 거기에 피아노의 거인 안드라스 쉬프의 가세로 인해 ‘베토벤 첼로 소나타의 진정한 결정판’으로 세계 음악계의 격찬을 받았습니다.
고전시대 레퍼토리의 최고 해석자 안드라스 쉬프
우리나라를 최초로 방문, 첫 내한 피아노 독주회와 함께 미클로스 페레니와의 듀오 연주회도 가질 예정이어서 많은 이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는 안드라스 쉬프는 헝가리 태생이지만 2001년 영국 국적을 취득한 피아니스트입니다. 그는 고전시대 레퍼토리의 최고 해석자로 오늘날의 피아노계를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글렌 굴드가 차지하고 있던 ‘바흐의 대가’라는 명성을 굴드 사후에 이어받으면서 「뉴욕 타임즈」로부터 ‘오늘날의 세계 클래식 음악계를 통틀어도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가 연주하는 바흐보다 더 신뢰도 높은 연주는 없다!’라는 극찬을 받은 바 있습니다.
바흐뿐 아니라 대부분의 고전시대 레퍼토리에 있어서 쉬프는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교과서’로 삼는 연주자입니다. 현대의 피아니스트들에게서 넘쳐나는 다양한 개성은 듣는 이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지만, 쉬프의 연주는 이를 뛰어넘는 하나의 전범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미상 2회 수상, 그라모폰상 수상 등 국제 음악계의 유력 상을 다수 수상한 그는 2000년대에 와서 베토벤에 깊이 천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페레니와 함께한 2002년반 베토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전곡 녹음 외에도, 2004년부터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32곡을 작곡 연대순으로 연주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일련의 시리즈 연주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이 전곡 사이클 연주 실황을 ECM 레이블이 8장의 CD에 담아 2009년까지 모두 발매하게 됩니다.
안드라스 쉬프는 베토벤이 작곡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다섯 곡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베토벤이 작곡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다섯 개의 소나타들은 간단히 말해서, 피아노 분야에서 32개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가 갖는 것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 멋지고 젊고 패기만만한 베토벤의 모습이 Op.5의 소나타들에 담겨 있다. Op.69의 A장조 소나타는 베토벤의 생애 중기에 씌어졌고, Op.102의 멋진 두 작품은 베토벤 말년의 음악 스타일과 형태가 시작될 때쯤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들은 실험적인 작품들이지만, 대단히 충만하고 내실 있게 구체화되었다.”
이 듀오에 쏟아지는 전세계 언론의 격찬
페레니와 쉬프가 함께 들려주는 베토벤 연주에 대해 세계의 언론들은 호평 일색으로 두 사람의 음악 작업을 반기고 있습니다. 특히「워싱턴 포스트」는 2007년 4월 20일자에서 대니얼 긴스버스(Daniel Ginsberg)가 쓴 공연 리뷰를 통해 “미클로스 페레니와 안드라스 쉬프가 베토벤의 5개 첼로 소나타 가운데 3곡을 연주한 이 날의 공연은 철두철미하고, 소름 끼칠 만큼 감동적인 연주였다. 위대한 작곡가의 음악을 가지고 최상의 정수만을 너무나 훌륭하게 정제해서 뽑아낸 공연이다.” 라고 극찬하기도 했습니다.
미클로스 페레니와 안드라스 쉬프는 이번 듀오 콘서트에서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2, 3, 4번과 ‘모차르트 <마술피리>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 등 전곡 베토벤 작품으로만 프로그램을 꾸며, 우리나라 팬들이 이들에게 기대하는 최상의 레퍼토리로 우리를 찾아옵니다.
많은 기대와 성원 바랍니다.
◈ PROGRAM
루트비히 판 베토벤 (1685~1750)
Ludwig van Beethoven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2번 G단조, Op.5 No.2
Sonata for cello & piano No.2 in G minor, Op.5 No.2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4번 C장조, Op.102 No.1
Sonata for cello & piano No.4 in C major, Op.102 No.1
모차르트 <마술피리> 중 ‘한 소녀나 여인을 파파게노 원하오’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 F장조, Op.66
12 Variations in F major on ‘Ein Madchen Oder Weibchen’ from Mozart’s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3번 A장조, Op.69
Sonata for cello & piano No.3 in A major, Op.69
◈ BIOGRAPHY
■ 미클로스 페레니 Miklós Perényi, Cello
![](http://img2.ticketlink.co.kr/upload/basic/contents/the/B0039556_03.jpg)
미클로스 페레니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음악가문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첼로 레슨을 처음 받기 시작했는데 스승은 다비드 포퍼의 제자였던 미클로스 잠보키였다. 페레니는 일곱 살 때 부다페스트에 있는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 들어갔고 그곳의 에데 반다 교수 문하에서 음악 수업을 받았다. 아홉 살 때 부다페스트에서 첫 데뷔 무대를 가졌고 이후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으로 가서 엔리코 마이나르디 교수 문하에서 공부했다. 그는 1962년에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된 국제 카잘스 첼로 콩쿠르에서 입상한 것을 계기로 파블로 카잘스의 인정을 받았다. 1965년과 1966년에 카잘스가 그를 초청해서 제르마트와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리는 자신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가하게 했으며 이어서 말보로 페스티벌에도 서게 해 4년 연속 초청받아 연주를 하게 된다. 1974년부터 리스트 음악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헝가리 현지에서는 성자와도 같은 존재로 추앙받고 있는 첼리스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월간 <객석> 선정 ‘살아있는 세계의 첼로 명인 7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1980년에 그간의 음악 활동이 인정을 받아 걸출한 헝가리 출신 인물에게 수여하는 코슈트상을 수상했고 1987년에 바르톡-파츠토리 상을 수상했다. 독주자로서 그리고 실내악 연주자로서 그는 에딘버러, 루체른, 프라하, 잘츠부르크, 빈, 바르샤바, 베를린, 프라드의 카잘스 페스티벌, 남아메리카의 카잘스 페스티벌 등 유럽과 미국의 유명 실내악 축제에서 초청 연주를 했고, 세계의 유명한 음악 중심지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펴고 있다.
그는 17~18세기 음악부터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매우 방대한 레퍼토리의 소유자이다. 그는 수많은 라디오 방송 레코딩을 남겼고, 헝가리 출신 연주자들의 음반 보고(寶庫)인 헝가로톤(Hungaroton) 레이블에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 등을 비롯해 많은 음반을 녹음해왔다. 또한 데카, 소니 클래식스, 텔덱, 에라토, 콜 레뇨, 퀸트 레이블, 그리고 메트로폴리탄 비디오 등에서 많은 녹음을 했다. 근래에 와서 같은 헝가리 출신의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와 함께 텔덱 레이블에서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를 녹음했고, ECM 레이블에서 베토벤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작품집을 녹음하여 거장들의 명연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동서 냉전시대였던 시절, 그는 서방 세계의 상업주의에 영합하지 않는 행보를 보여주었다. 때문에 실제 그의 위상에 비해 일반 대중 사이에서의 지명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지만, 전문 첼리스트들의 존경과 추앙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연주 활동과 후학 양성 외에도 페레니는 작곡 활동도 하고 있다. 첼로 독주와 실내악을 위한 소품 또는 대규모 실내악 작품들이 있다.
■ 안드라스 쉬프 András Schiff, Piano
안드라스 쉬프는 195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엘리자베스 바다슈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리스트 음악원에 들어가서 팔 카도사, 죄르지 쿠르탁, 페렌츠 라드슈 교수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또한 조지 맬컴으로부터도 가르침을 받았다. 세계 유명 공연장에서 바흐의 주요 건반악기 작품 전곡 연주를 비롯해서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 쇼팽, 바르톡 등을 연주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4년부터 베토벤의 32개 피아노 소나타를 차례로 연주하여 유럽과 북미 지역을 순회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시리즈는 ECM 레이블을 통해 실황 녹음되었고, 2009년까지 8장의 음반으로 발매된다.
다음 시즌 동안 쉬프는 바흐, 베토벤, 모차르트의 관현악곡과 건반악기 곡들을 지휘하고 협연할 예정이다. 세계 유명 오케스트라 대부분과 협연을 한 그이지만, 특히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닉,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버밍엄 시티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객원 지휘자 또는 피아노 협연자로 정기적으로 초청받고 있다.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서 바흐의 ‘B단조 미사’와 하이든의 ‘천지창조’를 공연했고,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를 순회 연주하여 언론의 절찬을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실내악을 즐겼던 쉬프는 1989년부터 1998년까지 잘츠부르크 인근에서 매년 이루어지는 실내악 페스티벌 ‘몬트제이 음악 주간(Musiktage Mondsee)’의 예술감독을 역임하면서 국제 음악계의 찬사를 받아왔다. 또한 그는 1995년에 세계 정상의 오보이스트 하인츠 홀리거와 스위스에서 함께 창설했던 실내악 페스티벌 ‘잇팅거 성령 강림제 음악제(Ittinger Pfingstkonzerte)’를 이끌며 현재까지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그는 독일 ‘바이마르 음악제’의 상주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1999년에 쉬프는 자신의 챔버 오케스트라인 ‘카펠라 안드레아 바르카’를 창단했다. 이들은 잘츠부르크에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 시리즈를 가졌고, 2005~2006 시즌에 북미 지역 투어를, 2006~2007년에 카네기홀과 앨리스 툴리 홀에서 모차르트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는 시리즈 연주를 했다.
쉬프는 매우 풍성한 디스코그라피를 갖고 있다. 텔덱(1994~1997), 런던/데카(1981~1994), 그리고 1997년부터는 ECM 뉴 시리즈 레이블을 통해 음반을 발표했다. ECM 녹음 가운데는 베토벤과 야나첵의 피아노 독주곡 전곡 녹음, 슈만 피아노 독주곡집, 쉬프가 두 번째로 녹음한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등이 있다. 그는 음악계의 저명한 상을 다수 수상했다. 바흐의 ‘영국 모음곡’으로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부문상을 수상했고, 테너 페터 슈라이어와 함께한 슈베르트의 ‘백조의 노래’ 음반으로 그래미상 최우수 보컬 레코딩 부문을 수상했다. 그리고 ECM에서 발매한 베토벤 소나타 전곡 녹음 시리즈 가운데 볼륨 2가 제49회 그래미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그밖에도 안드라스 쉬프는 1991년에 바르톡 상, 클라우디오 아라우 기념 메달(1994), 코슈트상(1996), 레오니 소닝스 음악상(1997) 등을 수상했으며, 최근에 그의 베토벤 연주로 인해 두 개의 유명한 상을 받았다. 2006년 6월에 본에 있는 베토벤 하우스의 명예 멤버가 된 것이 그 하나이고, 2007년 5월엔 유명한 이탈리아 상인 ‘프랑코 아비아티 음악 비평상’을 수상한 것이 다른 하나이다. 올해 10월에 쉬프는 영국 왕립 음악 아카데미가 제정한 영예로운 상인 바흐 상을 받았다. 콘(Kohn) 재단이 후원하는 이 상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작품을 아주 뛰어나게 연주했거나 학문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한 개인에게 수여되는 것이다.
2007년에 안드라스 쉬프는 독일의 음악 출판사 헨레와 손잡고 모차르트와 바흐 악보 스페셜 에디션을 내놓기 시작했다. 쉬프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전곡의 악보들을 지금도 편집 중에 있으며 이 안에는 그만의 독특한 핑거링이 들어있고, 원전의 카덴차가 유실된 곳에는 쉬프가 만든 카덴차들이 삽입되고 있다. 모차르트 프로젝트가 끝나면 바흐의 클라비어 평균율곡집 악보가 출판되어 나올 예정이다. 안드라스 쉬프는 부다페스트와 데트몰트, 뮌헨 음대에서 각기 명예 교수의 칭호를 받았다.
공연날...후기
제작년인가?? 미클로스 페레니가 내한했었다.
연일 계속되는 공연 나들이에 사실 무리였지만 눈에띄는 그의 프로필에 유혹되지 않을 수 없었다.
헝가리의 성자로 추앙받고 있고, 객석조사에서 살아있는 명인 첼리스트 7인중 1위로 선정된 신의영역에 속한......
더우기 그때 난 그의 코앞에서 연주를 보았으니 그의 첫곡 바흐를 듣는 순간부터 완전히 매료된건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었다.
아마도 그의 연주를 듣고 그의 표정을 본 사람이라면 그에게 빨려 들어가지 않을 사람이 없을거라 확신한다.
하이든을 들을땐 너무도 감격스러워 옆자리 일숙언니의 손을 꼬옥 잡고 말았으니까...
공연이 끝나고 일숙언니와 나오면서 감동의 물결을 채 추스리지도 못한 채 그랬었던 생각이 난다.
오옷!! '신' 맞다고.........
이번 홍보물 역시 안드라스 쉬프까지 합류한... 이들의 연주를 <신의 영역에 가까운 연주>라고 표현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번에도 함께한 명주씨에게 "신...맞지??" 했다는 거....ㅎㅎ
아니...그 두 연주자의 음악과 표정에서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천사를 발견했다.
무아지경...
그래...나는 공연 내내 그 크고 무거운 망원경을 눈에서 잠시도 뗄수가 없었다.
저렇게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하늘나라의 아름다운 천사의 모습을 발견하다니....
뜬금없이 얼굴에 주름이 가득한 늙은 모습이 저토록 아름다움에 그냥 그앞에 서면 순간에 반할것만 같다는 생각에 웃었다.
음악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가!!
음악과 완전히 일치가 된 그들의 모습!!
안드라스 쉐프와의 호흡은 정말 기가 막히도록 아름다웠다.
이틀뒤 안드라스 쉐프의 피아노 연주를 들을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또 다른 전율이 쭈삣 쭈삣 솟는것 같았다.
이번에 발매된 이 둘이 연주한 베토벤 음반이 좋은 호평을 받았다는데...이번 프로그램이 베토벤이었으니 그 어느때 보다도
이둘의 연주가 기막히게 떨어질 수 밖에도 없었을거라 생각든다.
모짜르트 오페라 마술피리의 익숙한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처음 들었는데, 성악으로만 익숙한 주제를 첼로와 피아노로 변주 연주한것을 들으니 그 아름다움이 독특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아무리 강렬한 파트일지라도 활의 부딪힘없이 한치의 잡음도 없는 영롱한 첼로와 피아노의 연주를 듣는내내
행복이라는 물결속에서 유영을 했다.
본공연이 끝나고 그들의 앵콜연주는 시작되었다.
앵콜연주도 결코 짧거나 가볍지 않은.....
기립박수는 계속되었고, 얼굴에 가득한 미소를 띤 이 두 연주자의 앵콜연주도 계속이어졌다.
무려 3곡이나 .....
페레니의 독주회를 꼭 보고싶다고.....함께한 명주씨는 욕심이 나는 지..몇번을 얘기했다.
다만 너무나 아쉬웠던 점은
이렇게 훌륭한 연주회에 빈좌석이 많았다는 점!! ㅠㅠ
덕분에 2층 C블럭 2열 한가운데 로얄석에서 보는 횡재를 누렸지만.....ㅎㅎ
'공연후기-클래식(200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 성 토마스 합창단 초청공연 (0) | 2008.02.28 |
---|---|
카운터테너 이동규 리사이틀/2008.4.17/LG아트센터 (0) | 2008.02.27 |
서울시향 <마스터피스 시리즈 Ⅱ>/2008.2.21/아람누리 (0) | 2008.02.20 |
런던 필하모닉&백건우 내한공연/2008.3.13/예당 (0) | 2008.02.18 |
살바토레 리치트라 초청 공연/2008.3.29/세종문화회관 (0) | 2008.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