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기악

<브람스의 브람스 / 교향곡 제2번 D장조 Op.73 >

나베가 2008. 10. 15. 16:54

 

 

 

<브람스의 브람스 / 교향곡 제2번 D장조 Op.73 >

작품 개요 및 구성

브람스는 신고전주의자로 분류될만큼 고지식한 음악가였으며 베토벤이 극한까지 밀고나간 고전주의 음악의 전통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작곡가이기도 하다. 초기에 그가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나 실내악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충실한 울림과 실내악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의 원대한 스케일이다. 그는 교향곡의 창작이야말로 베토벤을 계승하는 작업이라 믿고 자신의 첫 교향곡의 작곡에 착수했다. 그러나, 실제 작품이 완성된 것은 무려 23년 후였으며 이러한 신중함에 의해 탄생된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은 엄청난 힘과 완벽한 구조를 자랑하는 걸작이 되었다.

교향곡 1번의 발표 직후, 무슨 주문에서 풀려난 사람처럼 브람스의 교향곡 창작은 순조로와졌다. 1번 교향곡을 완성한 다음해인 1877년에 제 2 교향곡은 작곡되었다. 1877년 당시, 그리 건강이 좋지 못했던 브람스는 요양차 펠차하라는 도시에 들렀다. 그곳의 자연이 주는 경이감과 생명력에 감동한 브람스는 곧바로 신작 교향곡의 작곡을 시작하였다. 1번 교향곡의 부담감이 사라지고 나자 그는 마법이 풀린 사람처럼 순조롭게 작곡을 해나갈 수 있었다. 2번 교향곡은 착수한 지 불과 4개월만에 완성되었으며 차분한 분위기와 작곡의 배경등을 감안해 ‘브람스의 전원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실제로 각 악장의 기조음이 3도씩 하향하여 긴장이 이완된다는 점이나 목관의 사용이 풍부해서 다른 작품에 비해 온화한 인상을 갖고 있다는 점 등, 이 작품에는 목가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1악장 Allegro non troppo (재생시간 22:20)

*** asx파일로서 2부분으로 나뉘어져 연속재생 됩니다. 

 

 

 

2악장 Adagio non troppo

 

 

 

 

3악장 Allegretto grazioso (Quasi Andantino)

 

 

 

 

4악장 Allegro con spiri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