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hony No.9 in E minor, Op.95 "From the New World" 드보르자크 /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2악장 Largo - 카라얀지휘동영상 Antonín Dvorák 1841∼1904 |
제 2악장 Largo 작품해설 교향곡 '신세계로부터'는 1893년 드보르자크가 미국에 머물던 3년이라는 기간에 만들어진 곡으로 그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달래기 위해 보헤미아의 이주민이 사는 촌락 등을 찾아 다녔으며 거기에서 그들에게 유행하는 아메리카 인디언과 흑인의 민요를 연구, 그 당시 미국인들도 잘 알지 못하던 흑인영가를 이 교향곡에 사용한다. 'From the New World'라는 이름은 당시 원장으로 있었던 뉴욕 국립 음악원의 창설자 자넷 사바 부인의 제안에 의해서 붙여지게 된 것으로 여기서 신세계는 미국을 의미한다. '신세계로부터' 교향곡은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실린 곡은 이중 제2악장 라르고이다. 5음 음계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선율은 이 교향곡을 유명하게 하였으며 드보르작의 향수를 느낄 수 있다. 잉글리시 호른에 의해 연주되는 약간은 쓸쓸한 이 선율은 흑인 영가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드보르자크는 뉴욕 생활을 계속하는 동안 심한 향수에 빠져 견딜 수 없었으므로, 미국의 일부이긴 했으나 고향 보히미아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아이오와주의 스필빌에서 시끄러운 도시를 피해 요양하고 있었다. 창작에 몰두 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때인데, 「신세계로부터」는 여기서 완성되어 1893년12월 뉴욕에서 초연되었다. 빈필하모니관현악단 [Wien Philharmonic Orchestra] 1842년 빈국립오페라극장의 악장이었던 오토 니콜라이(Otto Nicolai)의 지휘로 시작된 빈궁정오페라하우스관현악단의 연주회를 기원으로 한다.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펠릭스 바인가르트너(Felix Weingartner), 빌헬름 푸르트벵글러(Wilhelm Furtwngler), 클레멘스 크라우스(Clemens Krauss), 브루노 발터(Bruno Walter) 등 당대의 거장들이 상임지휘자로 일하였다. 특히 두 차례나 빈국립오페라극장의 감독을 역임했던 카를 뵘은 1981년 사망할 때까지 부동의 정상을 확고히 한 공로자이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등 거장들이 객원 지휘하기도 했다. 상임단원은 136명으로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여 빈국립오페라극장 관현악단 단원 중에서만 발탁하며, 단원들도 대부분 빈 출신이다. 한 해 8회의 정기연주회, 요한 슈트라우스(Johann Strauss)의 왈츠를 중심으로 한 신년음악회 연주, 8월의 잘츠부르크음악제 연주, 잘츠부르크 드라마 페스티벌 연주, 세계 순회 연주 등을 한다. 세련된 음향과 세계 정상의 실력으로 고전에서 현대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카를 뵘의 지휘로 녹음한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의 교향곡 전집과 볼프강 모차르트(Wolfgang Mozart)의 후기 교향곡, 카라얀이 지휘한 오페라 시리즈 등이 명음반으로 꼽힌다. 1973년 3월 내한하여 클라우디오 아바도(Claudio Abbado)의 지휘로 연주하였고 1980년, 1993년에도 내한 공연하였다. 카라얀 [Karajan, Herbert von, 1908.4.5~1989.7.16] 오스트리아의 지휘자. 잘츠부르크에서 출생하였다. 처음에는 피아니스트를 지망, 빈에서 피아노공부를 하였으나 뒤에 스승 호프만의 권유로 F.샬크에게 사사하여 지휘를 배웠다. 1929년 울름의 오페라극장에서 데뷔, 그 후 아헨오페라극장의 음악 총감독을 거쳐 베를린 국립오페라극장의 상임지휘자로 일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베를린필하모니를 지휘하고 있던 푸르트벵글러의 상대자가 되어 인기를 모으고 전후에는 활동범위를 오스트리아·이탈리아·영국에까지 확대하여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쳤다. 1960년경부터는 베를린필하모니의 상임지휘자(푸르트벵글러의 후임), 빈 국립오페라극장의 총감독, 빈 악우회(樂友會)의 종신지휘자, 빈 필하모니관현악단 지휘자, 잘츠부르크음악제 총감독, 스칼라극장의 상임지휘자 등을 역임, 유럽 악단의 중요한 자리를 거의 독점하였다.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해석으로 뒷받침된 지휘는 모든 청중이 받아들일 수 있는 대중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레퍼토리도 광범위하였다. 1984년에는 베를린필하모니오케스트라를 이끌고 내한, 세종문화회관에서 연주회를 가졌다. <글출처: 웹사이트 / 음원출처: http://music.cein.or.kr> |
'음악 > 기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토벤/모짜르트<마술피리>중 연인이거나 아내이거나'변주곡 op.66 (0) | 2008.10.03 |
---|---|
피터 비스펠베이의 베토벤 첼로 소나타 1번 (0) | 2008.10.03 |
[스크랩] 드보르자크 /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Symphony No.9 in E minor, Op.95 "From the New World") -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0) | 2008.10.02 |
Slm&m 님의.. "바치니 / 고블린의 춤 스케르초 환타스티크 Op.25 - 사라 장 (0) | 2008.10.02 |
[스크랩] 시벨리우스/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 47 (0) | 200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