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목요일] 예술가의 초상 4 - 박노을(Cello)
박노을 Cello
Profile
박노을 (Cello)
보자르 트리오의 피아니스트, 메나헴 프레슬러가 “음악을 아름답게 하는, 어떤 음색이라도 자유로이 표현해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갖춘 연주자"라고 격찬한 첼리스트 박노을은 세계일보, 중앙일보 콩쿠르 입상 및 조선일보 콩쿠르 1위, 한국일보 콩쿠르 대상 등 유수의 콩쿠르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유망주였다. 이후 서울대 재학 중 독일 뮌헨 국립음대로 건너가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석 졸업했으며, 빈 국립음대 솔리스트 과정을 최고점수로 마쳤다.
박노을은 유럽에서 수학하며 이미 바르샤바 첼로 국제 콩쿠르 4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명예상, 하이든 국제 콩쿠르 2위 및 청중상, 루토스와브스키 국제 콩쿠르 3위 등에 오르며 탄탄한 실력을 갖춘 솔리스트로서의 미래를 다졌다.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의 객원단원 및 아카데미 단원, 뮌헨심포니오케스트라 종신 수석보 첼리스트를 역임하고,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부수석과 싱가포르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첼리스트로 초청된 그녀는 철저하면서도 완벽한 오케스트라 플레이어로서의 면모를 갖추며, 실내악 멤버, 그리고 물론 솔리스트 등의 다양한 역할에서 빈틈없이 충실한 모습을 보여 모든 연주에 확신을 주는 각광받는 연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박노을은 유럽 무대에서 루도미르 로지츠키 오케스트라, 헝가리카 심포니 오케스트라, 버드위즈 심포니 오케스트라, 뮌헨 국립음대 오케스트라, 뮌헨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서울챔버오케스트라, 서울예고 오케스트라,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울산시향, 수원시향, 전주시향, 예술의전당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바 있다. 박노을은 현재 금호아트홀 체임버뮤직 소사이어티 객원단원, 코리아나 챔버 뮤직 소사이어티 단원, 수원시향 수석 첼리스트로 활동하며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 선화예중, 계원예고,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 출강 중이다.
매끄러우면서도 정교한 테크닉, 섬세하면서도 지적이고 명료하면서도 따스한 인간미가 배어나오는 음악으로 주목 받고 있는 박노을은 현재 1830년 경 제작된 라파엘레와 안토니오 갈리아노로 연주하고 있다.
김정은 (Piano)
피아니스트 김정은은 서울예고, 서울대 음대 및 동대학원 졸업 후 도독, 칼스루에 국립음대에서 석사 및 최고연주자 과정, 프랑스 마르세유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프랑스 파리 에꼴 노르말 독주 및 실내악 콩세르티스트 과정을 마쳤다. 국내에서는 음연 콩쿠르, 음협 콩쿠르 1위, 동아음악콩쿠르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포르투갈 포르투 국제 피아노 콩쿠르 2위, 이탈리아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4위, 스페인 호세 이투르비 국제 피아노 콩쿠르 3위, 칠레 루이 시갈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및 청중상을 수상하였으며 뉴욕 카네기 홀에서의 성공적인 독주회를 포함하여 파리, 독일, 스위스에서 초청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로 활동하였다. 바덴바덴 필하모니, 보고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포르투 라디오 오케스트라, 발렌시아 오케스트라 등 정상급 오케스트라와 수차례 협연하며 호흡을 맞추었다. 국내에서는 LG아트센터에서 한국고등교육재단 초청 독주회, 금호아트홀, 호암아트홀 초청 독주회, 서울시향, 수원시향, KBS교향악단, 부산시향과의 협연 등을 통해 무대에 섰으며 2008년 가을부터 쇼팽 시리즈를 시작하여 총 8~9회의 독주회를 통해 쇼팽의 주요 작품을 모두 다룰 예정이다. 2009년 3월에 귀국,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매진 중이다.
P R O G R A M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1번 F장조, Op.5/1
Sonata for Cello and Piano No.1 in F Major, Op.5/1
Adagio Sostenuto;Allegro
Rondo:Allegro vivace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4번 C장조, Op.102/1
Sonata for Cello and Piano No.4 in C Major, Op.102/1
Andante
Allegro vivace
Adagio : Tempo d’andante
Allegro con brio
I N T E R M I S S IO N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5번 D장조, Op.102/2
Sonata for Cello and Piano No.5 in D Major, Op.102/2
Allegro con brio
Adagio con molto sentimento d'affetto
Allegro. Allegro fugato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75
Cello Sonata No.1 in F Major, Op.5-1
Jacqueline du Pré, Cello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재클린 매리 뒤 프레 (Jacqueline Mary du Pré 1945년~1987)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523752 http://blog.daum.net/gold9055/15010035
Cello Sonata No.5 in D major, Op.102 No.2 베토벤 / 첼로 소나타 5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Wilhelm Kempff, Piano / Pierre Fournier, Cello
베토벤 : 첼로 소나타 D장조 작품102-2
베토벤이 남긴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는 질적으로 극히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3번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데 다른 곡들도 모두 상당히 수준높은 곡들이다. 그 때까지는 실내악에서 첼로의 역할이 바소 콘티누오/통주저음의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를 못했었는데 베토벤에 이르러서 첼로의 파트가 솔로로, 완벽히 독주 성부로 발전했다는 사실은 음악史에서 특히 주목되는 사건 중 하나이다. 제 5번 D장조의 격렬한 몸부림은 파격적이다. 피아노의 옥타브 도약과 곧 이어지는 10도 도약의 현란한 첼로의 충격적 메시지. 모든 둑이 한꺼번에 터진 듯 1악장의 소용돌이 속에서 2악장은 반대로 명상적인 아다지오를 들려주고 아타카악장으로 끊이지 않고 이어진 마지막의 푸가 악장은 베토벤 후기에 대위법적 작품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함을 알려준다. 이 제5번 D장조는 4번과 같이 1815년에 작곡되었으며 그의 마지막 첼로 소나타로 장대하며 유쾌한 구성을 갖고 있는데 종교적인 깊이를 느끼게 한다. 정통적인 3악장제를 취하고 있지만 마지막 악장에는 푸가가 있다. 각 악장의 대위법적인 기교가 뛰어난 곡이다.
피에르 푸르니에(Pierre Fournier.1906 ~1986, 첼로)
첼로라는 악기에 현대적인 의미에 있어서 거장성 혹은 비르투오시티가 발현되기 시작한 것은 1876년 12월 29일 태어난 파블로 카잘스에 의해서 가능했다. 이 카탈루냐 출신의 위대한 첼리스트는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의 열렬한 찬미자인 동시에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세상의 빛을 보게끔 한 구원자였다. 그의 위대한 첼로의 전통은 가스파르 카사도, 안토니오 야니그로와 같은 스페인 출신의 첼리스트들에게 이어졌다. 그러나 카잘스의 그림자가 너무 컸던 탓인가, 카사도와 야니그로 모두 중요한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일군의 악파를 형성하거나 선배를 뛰어넘는 명성을 얻는 데에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카잘스에 의해 개화된 첼로의 시대는 스페인과 국경이 맞닿아 있는 프랑스에서 본격적으로 펼쳐진 것이다.
프랑스 첼로악파의 고색창연한 전통
20세기 초중반 프랑스에서는 첼로를 위한 수많은 작품이 탄생했다. 이는 대규모 관현악곡에 등을 돌리고 다시금 실내악에 눈을 돌린 당시의 작곡 경향도 그러했거니와, 콘서바토리 중심의 프랑스 음악계에서 걸출한 실내악 연주자들(현악을 포함한 목관 및 금관)이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폴 바젤레르와 모리스 마레샬이 등장하면서 19세기부터 존속해 온 프랑스 첼로악파의 전통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당시 프랑스에서 작곡된 첼로가 포함된 모든 실내악 작품들의 초연을 도맡았던 이 두 거장은 연주자로서의 화려한 삶보다는 교육자로서의 길에 더욱 충실하여 음반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특히 마레샬이 피아니스트 장-마리 다레와 함께 연주한 브람스의 첼로 소나타집을 들어보면 특유의 찬연함과 고전적인 엄격함, 자유롭되 절제되어 있는 스타일로부터 프랑스 첼로 전통의 그 고색창연한 향기를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젊은 첼리스트의 등장
피에르 푸르니에는 1906년 6월 24일 프랑스 파리의 상류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군인이었고 어머니는 피아니스트로서 항상 음악과 함께 한 교양있는 가정이었던 만큼, 그의 남동생인 장 푸르니에는 후일 명망 높은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원래 피아노를 쳤던 푸르니에는 어린 시절 소아마비를 앓으면서 페달을 밟을 수 없게 되자 앉아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카잘스에 의해 첼로란 악기가 부각을 받았던만큼 푸르니에는 9세 무렵부터 첼로라는 악기에 매진하게 되었고, 곧 파리 음악원에서 폴 바젤레르와 앙드레 헤킹을 사사하며 기린아로 성장한다. 1923년에는 콘서바토리 최우수 학생으로 선발된 그는 전설적인 현악4중주단의 리더인 루시엥 카페로부터 실내악을 배우기도 하고 라벨의 ‘샹송 마데카스’ 초연에 참가하는 등 여러 연주회에 참가하며 경력을 쌓아나갔다. 1925년에는 콜론 오케스트라와 협주곡 데뷔 무대를 갖기도 했다.
1947년 에딘버러 페스티벌에 모인 요세프 시게티, 윌리엄 프림로즈, 아르투르 슈나벨, 피에르 푸르니에(왼쪽부터).
최고의 솔리스트들과의 성공적인 앙상블 활동 그의 예술은 흔히 ‘첼로계의 황태자’라는 표현으로 축약되곤 했다. 이 말에는 카잘스가 황제라는 복선이 깔려 있는 듯하여 만년 2인자로서의 안타까움이 배어있음을 부인하기 힘들지만, 푸르니에의 연주에서 배어나오는 저 고매한 귀족적인 자태와 고전주의자로서의 의연한 균형감은 황제가 아닌 황태자만이 보여줄 수 있는 독창적인 예술성임 또한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 누구보다도 자연스러우면서도 당당한 연주를 펼쳐보였던 그는 첼로라는 악기의 진정한 모범이 무엇인가를 솔리스트이자 협연자로서 보여주었지만, 무엇보다도 지노 프란체스카티, 솔로몬, 빌헬름 켐프, 프리드리히 굴다, 예후디 메뉴힌, 헨릭 셰링 등등과의 실내악 활동이야말로 푸르니에의 예술성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라고 말할 수 있다. 앙상블에 있어서 화합의 아름다움이 보여줄 수 있는 극한의 경지를 보여준 그는, 특히 켐프와의 듀오와 셰링이 가세한 트리오, 미국에서의 아르투르 루빈슈타인-셰링-푸르니에 트리오를 통해 당대 최고의 앙상블로 인정받으며 고전 레파토리에 있어서 최고의 해석으로 존경받았다.
EMI에서의 활동 이후 1952년부터 56년 사이 데카에서 음반을 녹음했고 1959년부터 71년 사이에는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전설적인 레코딩을 남기며 모든 첼로 레파토리를 섭렵하며 그는 레코딩에 있어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카잘스 이후 최고의 고전적인 명연으로 손꼽히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Archiv)와 켐프와의 베토벤 첼로 소나타(DG) 및 셰링-켐프와의 베토벤 피아노 트리오(DG)가 유명하고, 바로크 첼로 협주곡 및 프랑스 첼로 협주곡집(DG)과 빌헬름 박하우스와의 브람스 첼로 소나타집(DECCA)도 그의 대표 음반으로 손꼽힌다. 브람스 2중 협주곡은 그의 독무대에 가까웠다. 부르노 발터와 프란체스카티와의 녹음(SONY)을 비롯하여,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와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의 바이올린(EMI) 및 페렝크 프리차이 지휘와 볼프강 슈나이더한의 바이올린(DG)과 녹음을 남겼다.
약력
| ||
|
'공연후기(클래식 201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향의 러시아 시리즈 IV-정명훈&르노 카퓌송 /12.21.금/ 예당 (0) | 2012.12.21 |
---|---|
서울시향의 보컬 시리즈 V/12.7.금/예술의 전당 (0) | 2012.12.07 |
서울시향의 러시아 시리즈 III /11.29.목/예당 (0) | 2012.12.07 |
마리스 얀손스 &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11.21,수)/예술의 전당 (0) | 2012.11.23 |
마리스 얀손스 &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11.20.화)/예술의 전당 (0) | 201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