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베토벤 교향곡 4,3번
“세계 전역에서 갈등과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데, 갈등과 전쟁의 이유는 바로 대화의 불통 때문입니다. 음악 자체는 갈등을 해결할 순 없죠. 하지만 서로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갖게 해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힘이 있어요. 남·북한 사람 모두 모인 곳에서 연주하고 싶고, 그러면 무척 행복할 겁니다.”
분쟁 지역에서 평화의 음악을 전하는 지휘자 대니얼 바렌보임(Daniel Barenboim·사진)이 내한 연주를 앞둔 9일 서울 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음악이 갈등과 분쟁 해결에 미치는 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유대계인 바렌보임은 ‘웨스트-이스턴 디반 오케스트라’(WEDO)와 함께 10∼14일(13일 제외) 나흘 동안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베토벤 교향곡 9곡 전곡을 연주한다. ‘웨스트-이스턴 디반 오케스트라’는 팔레스타인계 석학인 에드워드 사이드와 함께 바렌보임이 1999년 이스라엘과 중동지역 젊은 연주자를 모아 설립한 ‘평화의 오케스트라’다.
지휘자 바렌보임 “음악이 갈등 풀 순 없지만 대화 물꼬 틀 순 있죠”
유태인 바렌보임과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석학 에드워드 사이드가 1999년 창단한 웨스트이스턴 디반 오케스트라는 대립과 갈등을 겪는 중동지역의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돼 ‘기적의 오케스트라’ ‘평화의 오케스트라’로도 불린다.
2005년에는 중동의 가장 첨예한 대립지역인 팔레스타인 라말라에서 공연, 전 세계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 바 있다.

“한국 공연을 결정한 건 임진각에서 공연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입니다. 남북한 사람들이 모두 들을 수 있는 연주회를 열고 싶었지만 가능하지 않았고, 임진각에서의 공연이라도 좋다고 판단해 한국에 왔습니다. 그러나 이 콘서트는 언젠가는 남북한 사람들 모두가 함께 음악을 들을 수 있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번 내한 공연에서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연주한다. 특히 임진각에선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가사로 된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을 연주한다. 바렌보임은 “음악은 음악을 듣는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경험을 전달하는 메시지의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베토벤 곡은 18~19세기 작품임에도 현대적 메시지를 지니고 있으며 9개의 교향곡이 각각 다른 작곡가가 쓴 것처럼 저마다의 언어를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엔 홍보대사이기도 한 바렌보임은 자신을 ‘평화의 메신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념에 의해 하고자 하는 일을 할 뿐”이라고 했다.
“제가 하는 일들은 정치인들처럼 대중의 인심을 사거나 사랑을 받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선 자신이 기뻐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현대사회의 해악 중 하나는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해 고민이 많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겉모습보다 콘텐츠가 더 중요합니다. 웨스트이스턴 디반 오케스트라 구성은 에드워드 사이드와의 우정의 결과로, 우리가 음악으로 공존할 수 있는 축을 찾은 것입니다. 음악은 연주와 동시에 대화를 나누는 겁니다.”
'공연후기-(클래식 201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엘 바렌보임 베토벤 교향곡 전곡연주회 /마지막날/8.14.일/예당 (0) | 2011.08.18 |
---|---|
다니엘 바렌보임 베토벤 교향곡 전곡연주회/셋째날 / 8.12.금/예당 (0) | 2011.08.18 |
다니엘 바렌보임 베토벤 교향곡 전곡연주회/첫째날 / 8.10.수/예당 (0) | 2011.08.10 |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7.31.일/예술전당 (0) | 2011.08.01 |
서울시향의 명협주곡 시리즈3/7.21.목/예당 (0) | 2011.07.18 |